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과연 우리는 다른 세상에 살게 되었는가?

  • 등록일2023-06-21
  • 조회수2465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과연 우리는 다른 세상에 살게 되었는가?

과학과기술 2023년 04월호 vol.647

 

◈ 목차

과기정론코로나19 이후 과학기술계의 과제돌아보기와 준비하기 이주실

인터뷰이태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21대 회장 류준영

특집 I Beyond Pandemic과연 우리는 다른 세상에 살게 되었는가? 조숙경

특집 I Beyond Pandemic초불확실성의 중심에서 미래를 보다 서용석

특집 I Beyond Pandemic복잡해지는 위기와 국가의 역할 김유빈

특집 I Beyond Pandemic팬데믹 경제와 한국경제의 해법 김정식

특집 I Beyond Pandemic희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장은수

특집 II 팬데믹 3코로나19 팬데믹 대응 타임라인 류준영

특집 II 팬데믹 3체외진단의료기기의 미래는 신뢰에 달렸다 이유경

특집 II 팬데믹 3팬데믹 시기빅데이터로 최선의 대응책을 찾다

특집 II 팬데믹 3해외 주재 연구원의 팬데믹 경험 박지영김상원김준범

FOCUS피할 수 없는 동반자 지진’, 피해를 줄이는 방법 홍태경

FOCUSGPT, 생성형 AI는 이제부터 시작 박종열

FOCUS양자혁명과 양자 컴퓨팅 전쟁 김재완

정책시론2% 부족한 저긍’ 기술이제는 제대로 된 적응’ 기술로 이상협

현장탐방오가노이드 기술은 우리가 글로벌 리딩 류준영

장홍제의 화학예찬우리는 화학으로 세상을 본다 장홍제

북핵 문제의 과학적 탐구원자력 잠수함의 두 얼굴 이상민

조동찬의 건강 이야기소식이 장수 비결? 조동찬

맛있는 과학맛이란 무엇인가 노성열

해외 News 이주영

과학기술계 News

 


  

◈본문

Special Features I 

Beyond Pandemic

 

코로나 19 팬데믹이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던진 과제들

조숙경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부 교수

 


코로나19 광풍은 지나갈 것이고 우리 인류는 생존할 것이다하지만 그때 우리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 2020년 3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즈」 특별 기고에 실린 내용이다사피엔스와 21세기를 위한 21가지 교훈이라는 저서로 세계적 명성을 쌓고 있는 이스라엘의 역사학자인 유발 하라리 교수가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의 세계에서 인류의 미래를 진단한 것이다당시 그는 우리가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하면서, ‘글로벌 연대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자국의 이익만을 선택한다면 인류 분열이라는 큰 재앙에 직면할 것이지만국가 간의 글로벌 협력과 연대를 택한다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물론이고 21세기에 또다시 직면하게 될 모든 전염병을 상대로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정확히 3년이 지났다코로나바이러스는 사회 모든 분야가 그리고 전 세계의 모든 개개인이 함께 싸워 나가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던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미 지난해 9월에 팬데믹의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는 말을 조심스럽게 꺼냈다연말이 되면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내보냈다정말로 지난해 말에는 전 세계의 주요 도시들이 화려한 불꽃놀이 속에서 서로를 감싸 안으며 새해를 맞이했다우리나라도 1월 말부터 실내 마스크 의무가 해제되었고한 화장품 회사는 올 1월 거래액이 작년 대비 200%나 증가했다며 기쁨의 환호성을 지른다고 한다화장품 가게를 지나다 잠깐 멈춰 서서 이 봄에 유행한다는 립스틱을 발라보던 평범한 일상이 다시 오는 것 같다코로나19 팬데믹의 긴 터널 속에서 우리는 빠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나?

 

그렇다면 우리는 거리에 내걸린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의 복귀라는 현수막 글귀처럼 이전과 같은 일상으로 되돌아가고 있는 것인가아니면 유발 하라리 교수가 말한대로 완전히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된 것인가이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어떤 대답을 취하더라도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은 우리 시대의 모두가 거의 동일한 집단적인 경험을 했다는 것이고정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지만 그로부터 분명 새롭게 깨닫고 배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자유롭게 오고가던 출입문을 폐쇄해야만 했고보고 싶은 사람들을 만나지 못하는 고통을 견뎌야 했으며지극히 사소한 일상조차 멈추어야만 했던 초유의 시련을 견뎌내면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깨닫게 되었을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