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본,「사이언스 맵 2020」의 주요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23-06-26
- 조회수2545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6-23
-
출처
KISTEP 과학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사이언스맵#논문 분석#기초연구
- 첨부파일
일본,「사이언스 맵 2020」의 주요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목차
1. 개요
2. 「 사이언스 맵 2020 」 으로 보는 과학연구 동향
가. 총괄현황
나. 주요내용
3. Sci-GEO 차트를 이용한 과학연구 동향
가. 개요
나. 총괄 현황 및 주요내용
4. 시사점
◈본문
1. 개요
□ 일본 과학기술ㆍ학술정책연구소(NISTEP) 는 2005년부터 격년으로 '사이언스 맵' 보고서를 발간
○ 미래의 기초연구 추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사이언스 맵이라는 방법론을 활용
- 논문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연구의 현황을 조망할 수 있는 것으로 과학연구의 변화를 파악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연구영역 등을 발굴
○ 「사이언스 맵 2002」 (’97~’02)부터 시작하여 「사이언스 맵 2020」(’15~’20) 등 총 10개 시점의 사이언스 맵 작성ㆍ발표
- 「사이언스 맵 2020」에서는 2015년~2020년 대상 분석과 사이언스 맵 2002부터 2020을 활용한 시계열 분석 결과를 비교ㆍ설명
□ 사이언스 맵을 이용한 과학연구의 분석은 ①논문의 그룹화에 의한 연구영역 분류, ②연구영역의 맵핑에 의한 시각화, ③주목 연구영역에 대한 내용분석 순으로 추진
○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 동안 전 세계에서 발행된 논문 중 매년 각 분야*에서 피인용 수가 상위 1%인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 임상의학 식물ㆍ동물학ㆍ화학ㆍ물리학 등 22개 분야
** 논문 정보는 클래리베이트(Clarivate Analytics)의 Essential Science Indicators(ESI) 수록 정보
- ‘공동 인용(Co-citation)’ 분석을 통해 연구 분야(Research front¹⁾)를 도출하고 군집 분류(clustering)를 통해 연구영역을 도출 (2단계 그룹핑 방법론 적용)
- 연구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논문인 피인용도가 상위 1% 논문을 ‘핵심 논문(Core paper)’으로, 핵심 논문을 인용한 논문은 ‘인용 논문(Citing paper)’으로 분류
- 핵심 논문 및 인용 논문의 제목과 요약문 등으로부터 연구영역의 내용을 나타내는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여 분석
○ 사이언스 맵의 시각화 단위는 연구영역이며 공인용 정도가 강할수록 연구영역의 거리는 가깝게, 배치
- 핵심 논문의 밀도가 커질수록 따뜻한 색 작을수록 차가운 색에 가깝도록 표현
○ 사이언스 맵의 연구영역 내용 파악을 위해 연구영역의 내용을 나타내는 핵심 키워드와 연구영역 배치 정보로부터 여러 연구영역을 그룹핑한 「연구영역군」을 도출ㆍ해석
- 각 연구영역군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연구영역군의 특징을 파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