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3년 생명과학 경쟁력 지표 발표(영국)
- 등록일2023-07-25
- 조회수266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3-07-13
-
출처
S&T GPS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과학#경쟁력#지표
2023년 생명과학 경쟁력 지표 발표(영국)
◈본문
○ 영국은 생명과학 경쟁력 지표(LSCIs, life science competitiveness indicator)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
- 이번 LSCI는 2020-2022년 코로나19 기간 동안의 생명과학 분야 현황에 대한 분석을 포함
○ LSCI 주요 내용(일부 요약)
1. 연구 환경
- 영국은 보건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 다음으로 높은 예산을 배정하고 있지만 정부 주도 연구개발, 고등교육, 민간 비영리 부문에서 수행되는 비율은 중간 정도임
- 상업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의 글로벌 점유율이 2020년 3.0%에서 2021년 2.2%로 하락했으며, 상업 임상시험의 승인부터 실행까지의 기간이 2018년 222일에서 2021년 271일로 증가함
- 비교대상국 중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는 2022년 인용횟수가 높은 양질의 의학 연구(2.0%)를 수행하는 선두국가에 속함
2. 국내 시장
- 시장판매 허가를 받은 신약이 환자에 제공된 비율은 2018년 66%, 2021년 64%이며, 영국의 경우 소폭 감소했지만 스코틀랜드에서 대폭 증가가 확인됨
- 환자에까지 의약품이 제공되는 기간에 대한 2018년부터 2021년 3개년도의 데이터를 보면 영국은 유사한 수준을 유지(중앙값=297일)한 반면 스코틀랜드는 눈에 띄게 감소했음(중앙값=366일)
3. 생산 환경
- 2020 영국 제약 산업의 총부가가치(GVA)는 171억 달러였으며, 2019년 144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했으나 국가 간 비교 순위에는 변동이 없었음
4. 국제협력
- 영국의 제약 및 의료기술 수출액은 2021년 전년 대비 6%, 16% 증가했으나 비교국가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임
5. 투자 환경
- 영국은 2022년 전년 대비 생명과학분야 외국인 직접투자 추정치가 47%(19억 파운드 > 10억 파운드)로 크게 감소함
- 주식 금융조달(equity finance)은 2021년 72억 파운드에서 2022년 33억 파운드로 감소했으며 IPO 건수 및 관련 비용규모가 모두 크게 감소함
6. 숙련 노동인력의 공급
- 2020년 영국 고등교육(tertiary education) 졸업생 중 9.2%가 자연과학, 수학, 통계 프로그램을 이수했으며 이는 비교국가 중 인도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순위임
- 순위는 유지했으나 위 순위는 2019년 13.4%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2025-04-07
- BioINglobal 2025 글로벌 생명과학 분야 전망 2025-03-31
- BioINwatch 영국 생명과학국, ‘2024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 발표 2025-01-14
- BioINwatch AlphaFold-Multimer로 생명과학의 미스터리 중 하나인 생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다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