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GT 글로벌 산업정책 동향 _워싱턴 DC Weekly Brief 7월]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행정명령에 따른 미래 바이오 인력 육성 보고서

  • 등록일2023-08-04
  • 조회수2531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물공학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행정명령에 따른 미래 바이오 인력 육성 보고서

[GT 글로벌 산업정책 동향 _워싱턴 DC Weekly Brief 7월]

 

◈ 목차

1.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행정명령에 따른 미래 바이오 인력 육성 보고서

2. NSF-대만 반도체 공동연구(ACED Fab) 6개 신규과제 선정 발표

3. 미국 반도체연구협회(SRC)의 반도체인력 직무역량(KSA) 및 수요공급모델

 

 

◈본문


1.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행정명령에 따른 미래 바이오 인력 육성 보고서

 

2022년 9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해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발전에 관한 행정명령(E.O.) 14081에 서명했으며, 미국 정부는 이 행정명령을 통해 모든 미국인을 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분야의 훈련교육 기회를 확대하도록 주도한다. 미국 상무부 장관(DOC), 노동부 장관(DOL), 교육부 장관(ED), 국내 정책보좌관(APDP), 과학 기술정책실(OSTP) 국장, 국립과학재단(NSF) 총재는 목표지원을 위해 관련 연방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활용 계획을 공고하고, 다학제 교육 프로그램 촉진을 위해 새로운 활동권장을 지시한다. 이러한 계획은 행정명령에 따라 공식비공식 교육훈련, 직업 및 기술교육 시행, 기존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학위 프로그램에 관해 확장된 커리어 경로를 촉진한다. 또한 행정명령(E.O.) 13985에 명시된 정책에 따라 인종 및 성별 형평성을 증진하고, 소외된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해 역사적 흑인대학(HBCU), 부족대학(TCU), 소수민족 교육기관(MSI)에 관한 주요 논의를 진행한다. 행정명령은 이 계획이 이전 회계연도에 책정된 펀드와 대통령 예산안에 제시된 펀드에 관해 설명하도록 지시하며, ‘미래 바이오 인력 구축(Building the Bioworkforce of the Future)’ 계획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의 필요인력에 관한 최근 보고서 및 평가와 정부, 기업, 교육기관, 지역사회 기반 조직 전반의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립되었다. 대중의 의견은 경청 세션과 2022년 12 월 게시된 과학기술정책실(OSTP) 주도의 정보요청(RFI: Request of Information)을 통해 종합했으며. 의견수렴을 통해 종합한 정보는 권고안과 실행 단계에 반영되었다. 


*관련 보고서: (2022-GT-DC-066) 美 백악관,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 (계획 목표1) 바이오경제에서 미국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좋은 일자리와 경력에 관해 급변하는 기술 필요사항과 근로자 수요 충족 

 (계획 목표2) 여성, 유색인종, 농촌 지역 거주자, 장애인, 사법 관련자, 직장 복귀자, 신흥 분야 소외 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근로자 파이프라인은 우수한 바이오경제 일자리와 직업 준비, 확보, 발전 증진

 (계획 목표3) 연방 리소스는 형평성 증진 증거기반 교육 및 훈련 접근방식 사용 

핵심 권장사항 1. 혁신 촉진과 형평성 증진을 위해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직업과 커리어 인재풀 확장 및 다양화 

핵심 권장사항 2. 바이오 인력의 성장 및 다양화를 위해 근로자 중심의 부문 전략과 고용주, 노동 단체, 커뮤니티 칼리지, 기타 교육 제공자 간 파트너십 강화 

핵심 권장사항 3.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직업과 경력의 교육훈련에 관한 혁신적 접근방식을 개발하고, 엄격하게 평가하여 가장 효과적 접근법 확대 홍보 

핵심 권장사항 4. 지방부족 정부, 교육 및 훈련 제공자, 생명과학 협회, 조합, 근로자 봉사 조직, 기타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생명공학 인력의 경력 가능성과 잠재력 인식 향상 

핵심 권장사항 5. 산업계 인정 자격 및 역량 모델개발을 포함하는 평등 발전과 효과적 인력개발지원을 위해 데이터 분석 역량, 부문 간 협업 개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