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15호 - 일본, 2022년(令和4년) 유전자재조합 식물 실태 조사 결과
- 등록일2023-08-07
- 조회수2383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물공학
-
자료발간일
2023-07-28
-
출처
농립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2022#유전자재조합#식물
일본, 2022년(令和4년) 유전자재조합 식물 실태 조사 결과
R&D 이슈브리프 15호
◈ 목차
1. 일본, 2022년(令和4년) 유전자재조합 식물 실태 조사 결과
2. EU, 주요 천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위한 방안 패키지 채택
3. 프랑스, 축산농가 지역의 이익을 위해 도축장 네트워크 통합 및 글로벌 실행 전략 수립
◈본문
1. 일본, 2022년(令和4년) 유전자재조합 식물 실태 조사 결과
<조사의 목적>
⦁ 농림수산성은 ‘카타르헤나법’에 근거해 승인한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유지종자 유채)*와 유전자재조합 대두에 의한 생물 다양성에의 영향 유무 검증을 위한 조사 실시
- ‘카타르헤나법’은 유전자재조합 생물체 이용 규제를 통한 생물 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2003년 (平成15년), 법률 제 97호]
* 세이요나타네(유지종자 유채)란 식용유를 생산하기 위해 재배되는 유채로, 캐나다에서 식용유에는 적합하지 않은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돌연변이체가 발견된 후 품종이 개발되어 확산됨
⦁ 유전자재조합 식물이 교배와 세대교체를 반복함으로써 유전자재조합 식물의 생육범위와 교배율이 확대될 가능성을 추정하고, 일본의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유무 검증
- 2006년(平成18년)부터 세이요나타네의 수입 항구 주변 지역의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의 생육이나 그 근연종인 카라시나(겨자) 및 재래 나타네(유채)와의 교잡종 유무에 관한 조사를 실시
- 2009년(平成21년)부터 대두의 수입 항구 주변 지역의 유전자재조합 대두의 성장과 그 근연종인 야생 대두와의 교잡종 유무에 관한 조사를 실시
<조사 방법>
⦁ 1차로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유전자재조합 대두 등의 생육 군락수를 파악
- 유채류는 8개의 항구, 대두 및 야생 대두는 1개의 항구를 중심으로 대략 반경 5km 이내의 지역을 조사 범위로 진행. 조사지역에서 자라는 유채, 대두 및 야생 대두의 잎을 채취하여 유전자재조합 식물이 가지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등을 분석하여 유전자재조합 식물의 군락수를 파악
- 유채류 조사지역 8항: 오타루, 도마코마이, 가시마, 지바, 나고야, 욧카이치, 고베, 하카타
- 대두 조사지역 1항: 하카타
⦁ 2차로 유전자재조합체(體)가 생육하고 있을 경우에 그 주위에 생육하고 있는 유채류, 대두 또는 야생 대두로부터 채집한 종자를 분석하여 재조합 유전자의 유무를 판별
-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그 주변에서 자라는 유채 종자를 대상으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유무를 분석하여 유전 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유채종의 교배율을 추정
- 유전자재조합 대두 및 야생 대두의 종자 간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등의 유무를 분석하여 유전자재조합 대두 간의 교배율을 추정
<조사 결과>
⦁ 유채류 조사결과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의 생육범위가 확대되거나 근연종으로 확산되었다고 볼 수 없음
- 유채류는 8개 항구 모두에서 총 146군락이 발견되었으며, 이중 세이요나타네는 총 114개의 군락에서 발견됨
-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는 주로 차량이 지나는 간선도로변 식재대*를 따라 총 77군락, 89개체가 생육하고 있음
* 식재대: 조경 설계에서, 화초, 관목, 소교목을 식재하고자 실내나 실외에 고정하여 설치한 장소.
-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조사된 ‘유채 재배 군락의 총 수’를 보면,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의 군락 수는 50~100개 범위 내에서 유지되며 시간이 지나도 생육범위가 확대되지는 않음
- 재래 나타네는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 근처에서 자라는 유일한 유채 종이었고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의 교배는 관찰되지 않음
-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非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 또는 제초제 저항성이 다른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 사이의 교배율은 46% 수준으로, 非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 사이의 교배율 범위(12~47%) 내로 나타남
- 개량 유전자가 교배가 가능한 근연종에 퍼졌다거나 유전자재조합 유채가 육종을 통해 생장 범위를 확대해 非유전자 재조합 유채를 몰아냈다고는 볼 수 없음
⦁ 대두 및 야생 대두 조사결과 역시 유전자재조합 대두의 생육범위가 확대되거나 근연종으로 확산되었다고 볼 수 없음
- 대두 군락은 하카타 항에 2개가 있으며, 야생 대두는 발견되지 않음
- 유전자재조합 대두 역시 하카타 항에서 주로 차량이 지나는 간선도로변 식재대를 따라 2군락, 3개체가 생육하고 있음
-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조사된 ‘유전자재조합 대두와 야생 대두의 군락 수 변화’를 보면, 하카타 항에서 유전자재조합 대두의 군락 수는 0개~6개로 연도마다 변동이 있지만, 군락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지는 않아 유전자재조합 대두가 번식에 의해 생육범위를 확대한다고 볼 수는 없음
- 유전자재조합 대두와 야생 대두와의 교배 및 유전자재조합 대두 사이의 교배는 인정되지 않음
⦁ 2021년(令和3년) 까지 조사결과와 동일하게 재조합된 유전자가 교배 가능한 근연종으로 확산되거나 재조합체(體)의 생육 범위가 확대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유전자재조합 대두가 생물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
<향후대응>
⦁ 농림수산성은 유전자재조합 세이요나타네와 유전자재조합 대두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육현황, 관련종과의 잡종 유무, 잡종이 존재
[시사점]
█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전자재조합 식물이 근연종으로 확산되거나 생육범위가 확산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
█ 유전자재조합 식물의 재배가 지속될 경우 그 영향이 현재와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는 추정할 수 없으므로 향후 조사를 계속 진행할 필요가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