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3년 14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이슈포커스 바이오경제 유럽·미국·일본의 전략
- 등록일2023-08-11
- 조회수26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8-02
-
출처
GT 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경제#유럽#미국#일본
이슈포커스 바이오경제 유럽·미국·일본의 전략
[2023년 14호] 산업기술 동향워치
◈ 목차
이슈포커스
바이오경제 개념과 유럽·미국·일본의 전략 (日 농림중금종합연구소, 7.1)
산업‧기술동향
’23년 핵심광물 시장 검토 (IEA, 7.11)
넷제로 달성을 위한 클러스터 거버넌스 모델 검토 (WEF, 7.4)
순환 경제 측면에서의 마이크로 팩토리 활용 방안 (WEF, 6.29)
중국 승용차 시장 동향 점검 (日 일본경제연구센터, 7.5)
정책동향
미국 정부의 자율주행 상용화 추진 동향 (日 JETRO, 6.29)
반도체 인력 문제 해소 위한 커뮤니티 컬리지의 역할 (美 Belfer Center, 6月)
네덜란드,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추가 수출 통제 (和 Staatscourant, 6.30)
중국의 갈륨 제재 영향 (美 CSIS, 7.7)
부록
유망 기술 클리핑
산업기술 동향워치 2023년 14호 요약
구분 | 주요내용 | 페이지 |
이슈 포커스 | •︎ 바이오경제 개념과 유럽·미국·일본의 전략 (日 농림중금종합연구소, 7.1) - 바이오경제 개념과 OECD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유럽, 미국, 일본의 전략 수립 배경, 주요 내용 등을 비교·검토 | 1 |
산업•︎기술 동향 | •︎ ’23년 핵심광물 시장 검토 (IEA, 7.11) - ’22년 핵심광물 부문의 투자, 시장, 기술, 정책 동향을 업데이트 | 3 |
•︎ 넷제로 달성을 위한 클러스터 거버넌스 모델 검토 (WEF, 7.4) -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산업 클러스터의 주요 거버넌스 모델을 검토하고 각각의 적용 사례를 소개 | 4 | |
•︎ 순환 경제 측면에서의 마이크로 팩토리 활용 방안 (WEF, 6.29) - 제조업을 마이크로 팩토리로 전환할 경우 생산 현지화에 따른 최종 제품과 소비자 간 거리 단축으로 운송 비용 및 탄소 배출 감소 효과 발생 | 5 | |
•︎ 중국 승용차 시장 동향 점검 (日 일본경제연구센터, 7.5) - 해외 기업의 중국 승용차 시장 우위 상실 및 전기차 판매에 힘입은 중국계 브랜드의 시장 석권 추세를 고찰 | 6 | |
정책 동향 | •︎ 미국 정부의 자율주행 상용화 추진 동향 (日 JETRO, 6.29) - 미국 정부의 자율주행 관련 조치와 실증시험 동향을 개괄 | 7 |
•︎ 반도체 인력 문제 해소 위한 커뮤니티 컬리지의 역할 (美 Belfer Center, 6月) - 마이크로 전자공학 산업 확장으로 촉발될 수 있는 인력 문제 대응 방안으로 커뮤니티 컬리지의 역할과 장점을 고찰 | 8 | |
•︎ 네덜란드,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추가 수출 통제 (和 Staatscourant, 6.30) - 특정 첨단 방산 부문이나 고품질 군용 시스템 및 대량 살상 무기 개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첨단 반도체 개발·생산 관련 제품·기술을 수출면허 의무 대상에 포함 | 9 | |
•︎ 중국의 갈륨 제재 영향 (美 CSIS, 7.7) -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제한 조치가 유발하는 파급 효과와 향후 전망을 분석 | 10 | |
유망 기술 클리핑 | •︎ (디스플레이) 색상 변형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 이미지 왜곡, 급격한 휘도 변화 같은 성능 저하 없이 최대 30%까지 늘어날 수 있고, 색상 변경 가능 •︎ (디스플레이) 에너지 효율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핀과 유체로 구성된 픽셀 기반의 디스플레이로 에너지 효율 제고 •︎ (헬스케어) 유기 생체 전자장치 - 생체 신호를 인식·전송하고,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 •︎ (AI) 이미지 생성 AI 모델 - 텍스트를 기반으로 스케치, 수채화, 유화,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3D 만화 등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중국 알리바바의 인공지능 도구로 명칭은 ‘Tongyi Wanxiang’ •︎ (로봇) AI 기반 제초 로봇 - 첨단 컴퓨터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살충제 없이 잡초를 제거하는 태양광 구동 자율 로봇 ‘Aigen Element’ •︎ (배터리) 고성능 무코발트 리튬 이온 배터리 설계 기법 - 대량 조달이 어려운 코발트(Co)와 니켈(Ni)의 양을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설계 •︎ (배터리) 연료전지 설계 기법 -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의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 •︎ (배터리) 하이브리드 셀 기반 배터리 시스템 - 전기를 저장하는 동시에 부가적인 화학 물질(푸로산)을 생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셀 기반 배터리 •︎ (신소재) 스마트 창문 - 태양복사를 동적으로 조절하고 태양광 차단 성능을 향상시킨 스마트 창문(smart window) | 11 - 13 |
◈본문
이슈포커스
바이오경제 개념과 유럽·미국·일본의 전략 (日 농림중금종합연구소, 7.1)
◎ 일본 농림중금종합연구소가 바이오경제 개념과 OECD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유럽, 미국, 일본의 전략 수립 배경과 주요 내용 등을 비교·검토
- ‘바이오경제’의 정의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는 않으나 탈화석자원 경제 구축 및 에너지·제조 부문의 바이오매스 이용, 식품·헬스케어 부문의 바이오기술 활용 등의 개념을 포괄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바이오경제 2030: 정책 아젠다 설계」(’09) 보고서를 계기로 바이오경제라는 개념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
※ (The Bioeconomy to 2030: designing a policy agenda) 지속 가능한 개발 및 환경 지속 가능성에 대한 바이오경제의 기여 가능성을 언급하며 1차 산업, 헬스케어, 제조업 측면에서 바이오 경제의 중요성을 기술
◎ OECD 정책 보고서 발간 이후 글로벌 주요국이 잇따라 국가 전략을 수립하였는데, 각국 여건과 연구개발 정책 차이로 정책 초점과 세부 전략 등이 상이
※ ▲(유럽)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지구환경 과제 해결 ▲(미국) 바이오 기술을 통한 新비즈니스 육성 ▲(일본) 시장 선점 가능 산업을 집중 육성에 초점을 맞춰 바이오 전략을 추진
▘글로벌 바이오경제 전략 비교▗
◎ 유럽, 미국, 일본 정부는 최초 전략 수립 이후 화석자원 기반의 경제사회 체제 탈피를 위해 바이오경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전·추진
- (유럽) 연구 혁신 투자, 정책 간 상호 강화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증진, 시장 확대와 경쟁력 강화 등을 도모*
* (세부 정책 방향) ①︎ EU 및 회원국 기금과 민간 투자 확보, 주변 분야와의 연계 혁신 확대, 혁신 보급 촉진,인재 육성 ②︎ 정책 간 일관성 유지, 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관측 강화, 지역·국가별 정책 수립 지원, 국제 네트워크 확립 ③︎ 1차 산업의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지식 기반 제공,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데모·파일럿 공장 네트워크 및 물류 구축, 식품 시장 확대, 우선 조달 지원, 소비자 이해 향상 등
※ (유럽의 바이오경제 정책 경과) Horizon 2020 수립(’11) → Innovating for sustainable growth: A bioeconomy for Europe 발표(’12) → EU 바이오경제 전략 개정(’18) → 그린딜(Green Deal) 발표 (’19) → Horizon Europe 수립(’21)
- (미국) 연구개발 투자 지원, 바이오 연구 성과의 시장 연결 시스템 구축, 규제 장벽 해소, 인재 육성, 산관학 협력 틀 구축 추진
※ (미국의 바이오경제 정책 경과) 국가바이오경제청사진 발표(’12) → Billion Ton Report: Advanced Domestic Resources for Thriving Bioeconomy를 통해 정책 점검(’16) →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바이오 기술 및 제조 혁신 촉진 관련 대통령령 발동(’22)
- (일본) 바이오와 디지털 융합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정비, 글로벌 인재·투자 유치 거점 마련, 지역 실증·연구 네트워크 구축, 창업·투자 환경 강화, 규제·공공조달·표준 활용, 연구개발·인재 육성 증진, 지식재산·유전자원 보호, 국제전략 강화, 윤리적·법적·사회적 문제(ELSI) 대응*
* 일본은 ’30년 세계 최첨단의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을 목표로 산관학 협력을 통해 시장 선점이 가능한 9대 시장 분야(①︎고기능 바이오소재 ②︎바이오 플라스틱 ③︎1차 생산시스템의 지속가능성 ④︎유기 폐기물·배수처리 ⑤︎헬스케어, 기능성식품, 디지털헬스 ⑥︎바이오의약·재생의료·세포·유전자치료 관련 산업 ⑦︎바이오생산 시스템 ⑧︎바이오 관련 분석·측정·실험시스템 ⑨︎목재 활용 대형건축·스마트임업)을 집중 육성
※ (일본 바이오경제 정책 경과) 바이오기술전략대강(’02) → 바이오매스 활용 기본계획 수립(’10) → 바이오 산업 사회공헌 비전 발표(’16) → 통합혁신전략 2018에 바이오 분야 포함(’18) → 바이오 전략 2019 수립(’19) → 바이오 전략 2020 발표(’20) → 바이오매스 추진 기본계획 확정(’22)
◎ 단기적으로는 화석자원 기반의 경제 발전 체제에서 탈피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기후 변화 대응 및 생물 환경 보호를 추구하는 바이오 경제 사회로의 전환 가속화가 불가피
* 국제에너지기구(IEA)의 ‘화석자원 에너지 소비 보조금 정보(Fossil Fuels Consumption Subsidies 2022)’에 따르면 러-우 전쟁에 따른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급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22년 화석자원 보조금 전망치가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일본 정부가 유럽, 미국 등 해외 주요국 정책을 참고하여 시장 선점 가능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전략으로 대응을 촉진해 나가는 것이 중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