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바이오소재 계면과학 구축 ~「생명을 구하는 의료」 실현을 위한 학술~

  • 등록일2023-08-17
  • 조회수2371
  • 분류정책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3-08-08
  • 출처
    S&T GPS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소재#생명#의료#계면과학

 

 

바이오소재 계면과학 구축 ~「생명을 구하는 의료」 실현을 위한 학술~


 

◈본문


○ 일본학술회의는 바이오소재 계면과학을 계면반응 데이터의 수집과 축적을 통해 계면현상에 접근하는 '바이오소재 DX', 소재와 생물의 계면 현상을 나노미터에서 밀리미터 수준의 공간적 계층성으로 규명하는 '재료-생체반응과학', 생체적합 표면·생체기능 표면을 디자인하는 '표면창출 과학'의 연구를 심화시키고 통합하기 위한 방안 및 필요성, 의의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작성배경) 바이오소재의 혁신성은 최종 제품의 국제 경쟁력 확보의 원천이며, 바이오소재 연구의 육성·발전은 국책상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

- (바이오소재 계면과학의 구축) 지침 및 실시내용, 실시체제 구축, 국제협력

- (학술적 의의) '바이오소재 계면과학'의 구축을 통해 감염·염증까지 포함한 계면현상을 규명하고, 이론의 일반화, 생체 소재에서 생체적합성의 새로운 개념 및 정의 구축, 이를 통해 가능한 생체기능 표면 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생물인 고체 소재와 생물과의 공존과 관련된 광범위한 학리 전체의 발전을 촉진

- (분야융합 관련 효과) '바이오소재 계면과학'은 주로 '자연과학·공학'과 '생명과학'의 융합 영역에 포함되며 그 중심이 되는 바이오소재 자체가 인공장기학, 재생의료학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그 기반이 되는 소재과학·공학(금속·세라믹스·고분자·복합재료),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정보공학 외에 분자생물학, 조직학, 면역학, 세포생물학 등의 생명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이들 학제간 영역의 융합이 필수적이며, 연구자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술분야 개척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