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5 - ⽇,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액션플랜 2023’ 발표
- 등록일2023-08-31
- 조회수2430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3-08-31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건강증진#디지털헬스#일본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5
포커스_ ⽇,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액션플랜 2023’ 발표
◈ 목차
◈ 포커스
- ⽇,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액션플랜 2023’ 발표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Boston Scientific, 2분기 실적 강세로 연간 매출 전망치 재조정
- Pfizer, COVID 백신 및 항바이러스제 약품 판매 부진하면 연말에 비용 절감 예정
- 영국 테바의 스마트 흡입기, 유럽 시장 첫 출시
- 프랑스 Sanofi, 견조한 ’23년 2분기 실적 발표
- 패션 기업 프라다,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 제품 출시
- 일본제약공업협회, 난치·희귀질환 환자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제언 발표
- Roland Berger,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매각 등 투자 동향 분석
- 바이오제약의 생산성 개선을 위한 제안
◈ 의료서비스
- 미 보건복지부, ’24 회계연도 예산 요청에 따르면 총 예산 규모는 1조 6,910억 달러
- EU와 PAHO,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의료기술 위해 파트너십 체결
- 제약 회사의 경쟁력을 위한 북유럽 국가들의 ESG 강화 노력
- 일본 국립암연구센터, ‘예방 가능한 암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1조엔 넘어’
- 중국 첸하이 협력구역, 홍콩 및 마카오 의료기관의 지원방법 발표
- 인도 내무부, Ayush 비자 도입을 공식적으로 발표
- 이집트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논의(ETH 2023 준비회의)
- 케냐, 환자 안전 증진을 위한 규제 1년간 시범 실행 후 긍정적 결과 도출
◈ 디지털 헬스케어
- 원격의료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장애물과 그 해결 방안을 규명
- 팬데믹 기간 도입된 디지털 의료 기술들의 퇴출 가능성 분석
- 영국 웨일즈, 암 진단을 위해 AI 사용을 확대
- 핀란드, 건강정보 포털 ‘Kanta’ 통해 국민 건강관리 혁신에 도전
- 호주 디지털 병리학 스케너, 병리학자의 생산성 10배 개선
- iPredict™ 등, 인공지능에 기반해 황반변성 조기 진단 및 치료 개선
- 자폐증, ADHD, 불안장애 환자들을 위한 원격의료 접근성 제고 방안
- 웨어러블과 이식형 의료기기, 다양한 형태의 신기술이 적용
◈본문
포커스
⽇,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액션플랜 2023’ 발표
경제산업성이 ’23년 7월 25일 공개한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액션플랜 2023’(案)은 ‘새로운 건강사회 실현’을 위한 미션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지속 가능한 사회보장제도 구축에 공헌’ ‘경제성 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분야의 국내외 수요를 환기하고 새로운 투자를 촉진하는 선순환을 지향하고 있으며 △예방과 건강증진에 대한 투자 촉진 △이들 영역에서의 신뢰성 확보 △디지털 헬스 추진 △혁신 생태계 강화 △간병 분야 과제 대응 등 5가지를 축으로 구성 |
건강증진 및 간병산업의 시장규모 확대에 주력
▍︎(예방·건강증진에 대한 투자 촉진)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 향상을 목표로 예방과 건강증진에 대한 투자를 중시
•︎ (건강경영 뒷받침할 산업 창출) 경제산업성의 ‘건강경영 우량법인’ 인증 등 건강경영 보급이 확대되고 다양한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이 건강경영에 대처하기 위한 관련 서비스의 추가 육성이 중요하며 관련 서비스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환경정비가 필요
•︎ 향후 건강경영 추진에 기여할 서비스와의 매칭을 위해 건강경영에서 니즈가 높은 정신건강, 컨설팅 서비스 영역에서 일정한 평가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
* 건강경영이란 경영적인 시점으로 종업원 등의 건강관리를 생각하고 전략적으로 실천하는 것으로 종업원 건강에 투자하는 것이 종업원 활력 향상, 생산성 향상 등을 초래해 결과적으로 실적향상, 주가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 (지역의 투자 촉진) ‘지역판 차세대 헬스케어 산업협의회’가 전국 4개 블록, 18개 부현(府県), 15개 시구정(市区町)을 합해 총 37개 설치돼 있음을 고려해 지속적인 지역 관계자(지자체, 의료기관, 민간사업자 등)의 연계나 지역 니즈를 고려한 헬스케어 산업 창출을 지원
•︎ 이 밖에 개별적 대응으로 △스포츠 관광 촉진 △질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운동·스포츠 습관화 촉진 사업 △건강한 도시 구축·주택추진 △현대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온천지 활용 촉진 △지속적·포괄적인 보건사업 추진 △고령자의 심신 특성에 맞는 대응 등의 사업을 추진
▍︎(예방·건강증진에 대한 신뢰성 확보) 건강정보의 신뢰성은 시민이 자신의 건강을 적절하게 관리하는데 필수적으로, 디지털화가 진행되는가운데 건강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
•︎ (증거에 기반한 예방·건강증진 촉진) 보험자 등을 대상으로 한 예방건강 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건강증진 효과 등 실증사업으로 얻은 결과를 시책에 반영하고 지속적으로 증거를 축적
* △암 검진의 접근성 향상책 실증 사업 △당뇨병성 신장질환 중증화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사업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점증 △AI·ICT를 활용한 간병예방 도구 등의 효과·보급실증 사업 등 총 14개 실증사업을 실시
•︎ 과학적 증거에 입각한 헬스케어 서비스의 사회 적용을 위해서는 예방·건강증진의 특색을 고려한 연구개발 기반이 필요하지만 서비스 개발사업자가 적절한 연구개발을 실시함에 있어 비약물적 개입방법의 증거 구축을 위한 평가방법이나 지표 등이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상태
* 이러한 연구개발 기반을 정비하기 위해 앞으로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는 △연구디자인 개발에 기여하는 연구△행동변화 개입을평가하기 위한 표준지표 작성 △다면적 가치(경제성 평가 등) 정리 등을 지원할 예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