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기초연구 역량 제고와 분야별 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한 질적평가 시스템 정착 방안 연구
- 등록일2023-11-27
- 조회수204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11-2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초연구#연구지원기관#평가시스템
기초연구 역량 제고와 분야별 지원체계 고도화를 위한 질적평가 시스템 정착 방안 연구
◈ 목차
Ⅰ.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범위
Ⅱ. 주요 연구내용
1. 국내 기초연구 정책 방향
가. 기초연구 관련 국가상위 정책구조
나.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상 기초연구 관련계획
다.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3-‘27)
라. 기초연구사업 SWOT 분석 및 미래 방향성 검토
2. 국내 기초연구사업 및 평가시스템 현황
가. 사업 현황
나. 평가시스템 현황
3. 해외 주요기관 선정 평가·운영 및 새로운 평가방식 도입사례
가. 주요 연구지원기관 선정평가 시스템
나. 주요 연구지원기관 운영 현황(NSF 사례)
다. 주요 연구지원기관의 새로운 평가방식 도입(Narrative CV 채택) 현황
4. 연구자 및 평가관리자 의견 조사
가. 기초연구 평가주안점 인식조사
나. 평가관리자(PO)의 평가시스템 개선 의견 조사
5. 기초연구사업 평가시스템 개선이슈 및 개선방향 검토
가. 평가위원
나. 평가방법 및 절차
다. 평가항목·지표
6. 기초연구사업 평가시스템 대안
가. 평가위원
나. 평가방법 및 절차
다. 평가항목·지표 및 연구계획서 양식 개선 방안
7.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제안
가.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도입 필요성
나.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개선방안
◈본문
Ⅰ.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국제질서 대변혁기를 맞아 선도적 과학기술 혁신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국은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
○글로벌 과학기술 환경이 경쟁적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경제 안보 및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사회적 큰 도전 과제를 다루기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중요성이 날로 더 커져가고 있는 상황
○기초과학에 많은 투자를 해왔던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국가들은 기초과학의 저력을 바탕으로 눈부신 과학기술 성장을 이룬 경험이 있고 항상 새로운 기술과 산업을 창출해 경쟁 우위를 선점
○우리나라에서도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초과학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
╶︎기초연구 예산은 2017년 1조 2,600억원에서 2022년 2조 5,500억원으로 5년간 두 배 이상 증액
⁎︎(’17년) 1.26조원 → (’18년) 1.42조원 → (’19년) 1.71조원 → (’20년) 2.00조원 → (’21년) 2.35조원 → (’22년) 2.55조원(교육부 기초연구예산 포함)
○정부 연구개발 예산의 약 30%를 기초연구에 투자, GDP 대비 기초연구비 비중도 0.7%(2019년 기준)로 세계 최고 수준, 선진국적 구조
□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의 추진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연구 시스템의 혁신이 필요
○국가·사회 전 분야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임무 중심의 과학기술 기반 혁신과 함께 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 추진으로 질적인 도약 필요
○특히,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등 추진 방향에 맞춰기초연구 체계도 혁신적인 변화 필요
□ 기초연구에 대한 질적 평가 시스템을 실제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 마련 시급
○논문 수, 학술지 IF 등 양적/계량적 수치에 의존하던 우수성 평가 관행으로 인해 부실 학술지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
○임무 중심의 과학기술 기반 혁신과 함께 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가 될 수 있도록 질적 평가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기초연구가 국가·사회 전 분야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기초연구 평가시스템 개선 관련]
□ 국내 기초연구 정책 방향 조사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상 기초연구 관련계획 및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3-‘27) 상 기초연구 정책방향, 평가·관리 방향 검토
□ 국내 기초연구사업 및 평가시스템 현황 조사
○국내 기초연구사업 현황 파악 및 선정평가 절차, 평가위원, 평가지표, 평가방법 등 현행 선정평가시스템 현황을 파악
□ 해외 주요기관 선정 평가·운영 및 새로운 평가방식 도입사례 조사
○해외 주요 연구지원 기관의 선정평가 시스템 및 운영사례, 새로운 평가방식(Narrative CV) 채택사례 조사·검토
□ 평가시스템 인식 및 개선의견 수렴을 위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진행
○전문위원 대상 현행 선정평가 시스템에 대한 평가주안점 인식조사(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및 재단 평가관리자(PO) 대상 평가시스템 개선의견(인터뷰) 청취
□ 평가 요소별 개선이슈 · 개선방향성 도출 및 평가시스템 대안 제시
○평가위원, 평가지표, 평가방법, 평가운영 등 요소별 개선이슈 및 개선방향성 도출
○도출된 개선방향성에 따른 평가시스템 대안(중점 추진과제) 도출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개선 관련]
□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개선안 검토 및 개선방안 제시
○창의변혁적 가설검증 지원사업 도입 필요성 검토 및 개선방안 제시
<그림 1-1> 연구 수행 구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EU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과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규정·절차 비교분석 연구
-
다음글
- [2023년 20호] (정책동향) EU 경제 안보를 위한 10대 핵심 기술 분야 선정 (歐 EC, 10.3)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