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 등록일2023-11-30
- 조회수315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11-13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부연구개발예산#국가연구개발사업#조사·분석 통계 산출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 목차
주요 결과 요약
PART 01. 조사・분석 개요
1. 조사・분석 목적
2. 조사・분석 근거와 연혁
3. 조사・분석 대상과 추진체계
4. 조사・분석 항목
PART 02. 주요결과
1.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 집행현황
1-1. 총괄 집행현황
1-2. 부처별 집행현황
2. 부문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현황
2-1. 연구수행주체별 집행현황
2-2. 세부과제 지원유형별 집행현황
2-3. 연구개발단계별 집행현황
2-4. 지역별 집행현황
2-5. 기술분류별 집행현황
2-6.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적용분야별 집행현황
3. 과제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현황
3-1. 과제당 집행현황
3-2. 신규・계속과제별 집행현황
3-3. 비목별 집행현황
3-4. 공동・위탁연구 집행현황
4. 주요 분야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현황
4-1.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집행현황
4-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의 정부 수탁 집행현황
4-3. 중소・중견기업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현황
4-4. 연구수행주체 ‘병원’ 집행현황
5. 연구책임자 현황
5-1. 총괄 현황
5-2. 연령・성별 연구책임자 현황
5-3.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책임자 현황
5-4.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 현황
5-5. 전공・학위별 연구책임자 현황
PART 03. 통계표
1. 국가연구개발사업 총괄 집행현황
2. 부처별 집행현황
3. 연구수행주체별 집행현황
4. 연구개발단계별 집행현황
5. 지역별 집행현황
6. 공동・위탁연구 집행현황
7. 연구책임자 현황
◈본문
01. 주요 결과 요약
1. 총괄 현황
▣︎ 2022년도 총 집행액 28조 6,782억원(’21년도 26조 5,791억원 대비 7.9% 증가)
○정부연구개발예산의 투자계획 29조 7,770억원(예산 27조 2,407억원, 기금 2조 5,363억원) 대비 예산 변경(사업 신규편성 포함) 2,632억원, 미집행액(예산 미배정, 불용 등) 8,356억원을 제외한 28조 6,782억원 집행
※︎2022년도 조사・분석 정부연구개발예산은 2021년 12월 국회에서 심의・의결된 2022년 정부연구개발예산과 동일한 29조 7,770억원
○최근5년간(’18~’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집행액은연평균9.7%증가하였으며정부총지출규모에대한연평균증가율(9.1%)의 1.07배 수준
※︎2022년도 정부 예산 : (총 지출규모) 607조 6,633억원, 연평균 9.1% 증가, (통합재정규모) 571.8조원, 연평균 9.5% 증가
[그림 1]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액과 세부과제 수, 2018-2022
▣︎ 부처별 집행현황
○과기정통부(8조 9,089억원, 31.1%), 산업부(5조 675억원, 17.7%), 방사청(4조 1,061억원, 14.3%), 교육부(2조 3,904억원, 8.3%), 중기부(1조 7,296억원, 6.0%)의 5개 부처가 77.4%(22조 2,025억원) 집행
2. 부문별 집행현황
▣︎ 경제사회목적별 집행현황
○전체 집행액의 43.0%인 12조 3,360억원이 경제발전 분야에 집행되었으며, 뒤를 이어 비목적연구 20.5%(5조 8,735억원), 국방 15.3%(4조 3,940억원), 보건환경 12.7%(3조 6,276억원) 순임
○경제발전 분야 비중은 최근 3년(’19~21년) 증가하다가 ’22년 소폭 감소
※︎(’19년) 40.7%(8.3조원) → (’20년) 41.8%(10조원) → (’21년) 43.8%(11.6조원) → (’22년) 43.0%(12.3조원)
[그림 2] 경제사회 목적별 집행현황, 2022 | [그림 3] 경제사회 목적별 집행추이 |
▣︎ 기술분야별 집행현황
○중점과학기술 집행규모는 17조 942억원으로 생명・보건 의료 분야(3조 2,266억원, 11.8%), ICT・SW 분야(3조 947억원, 11.4%), 에너지・자원 분야(2조 2,955억원, 8.4%) 등의 순임
○우주・항공・해양(0.5%p), 생명・보건의료(0.3%p) 등에서 전년 대비 집행 비중 확대, 농림수산・식품(△0.5%p), 기계・제조 (△0.4%p)등은 축소
[그림 4] 중점과학기술 집행현황(’22) 및 전년 대비 증감률(%p)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적용분야별 집행현황
○공공분야(18조 7,652억원, 65.4%)가 산업분야(9조 9,130억원, 34.6%)보다 1.9배 많으며, 공공:산업 비중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그림 7]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적용분야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비중 추이, 2018-2022
▣︎ 연구수행주체별 집행현황
○출연(연)(10조 3,646억원, 36.2%)의 집행액이 가장 많으며, 대학(6조 9,738억원, 24.3%), 중소기업(5조 4,924억원, 19.2%), 중견기업(1조 8,716억원, 6.5%), 국공립(연) (1조 3,024억원, 4.5%), 대기업(5,889억원, 2.1%) 순임
○출연(연) 중에서는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연구회’로도칭함) 소속출연(연)이4조9,219억원으로가장많고, 부처직할출연(연)이 4조 8,441억원, 경제・인문사회계(이하 ‘경사연’으로도 칭함) 출연(연)이 6,076억원 순임
[그림 8] 연구수행주체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추이, 2020-2022
○기업의 연구개발 집행규모는 8조원 수준(27.7%, 1.3%p↑)으로 대기업이 0.6조원(2.1%), 중소・중견기업이 7.4조원(25.7%) 집행
※︎연도별 대기업 비중: (’20년) 1.6% → (’21년) 1.6% → (’22년) 2.1%
※︎연도별 중소・중견기업 비중: (’20년) 24.3% → (’21년) 24.8% → (’22년) 25.7%
○대학 집행규모는 7조원(24.3%, 0.5%p↑)이며, 기타7) 기관에서 2조원(7.0%, 1.0%p↓) 집행
※︎연도별 대학 비중: (’20년) 24.1% → (’21년) 23.8% → (’22년) 24.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