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4 백신·치료제 지원 가이드북
- 등록일2024-01-03
- 조회수2724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12-26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백신#치료제#개발
- 첨부파일
2024 백신・치료제 지원 가이드북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목차
제1부 백신・치료제 지원제도
Ⅰ. 백신・치료제 개발
⑴ 백신・치료제 개발 단계
⑵ 전임상 단계
⑶ 임상 단계
⑷ 허가・심사 단계
⑸ 제품화 단계
Ⅱ. 생산역량 확충
⑴ 생산 인프라
⑵ 원부자재 기술 자급화
Ⅲ. 생산역량 확충
⑴ 투자유치 촉진
⑵ 세계 진출
Ⅳ. 생산역량 확충
⑴ 전문인력 양성
⑵ 전연구기반 확충
⑶ 금융 지원
⑷ 창업 활성화
제2부 기타
Ⅰ. 사업단
Ⅱ. 관계기관
Ⅲ. 행사
◈본문
■ 백신 치료제 개발 단계
①︎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
문의처╷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044-202-2865
한국보건산업진흥원 043-713-8696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02-2228-0339
◎︎ 지원목적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의 예방부터 치료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 진단, 치료제 개발 지원
◎︎ 지원규모 : 2024년 479.8억 원(정부안)
◎︎ 지원대상 : 대학, 출연연구기관, 기업, 병원급 의료기관 등 연구기관
◎︎ 지원개요
◾︎ (공고시기) 2023년 12월(예정)
◾︎(지원내용) ☞ 세부사항 변동 가능, 사업별 공고문 참고
내역사업 | 지원 내용 | 지원 규모 | 지원방식 |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 국가예방접종백신 국산화, 미래대응 미해결 백신개발 등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지원 | 신규 4개 과제당 최대 2~3년 연간 5~13억 원 | 자유공모 (품목지정) |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 기술개발 | 감염병의 조기진단, 현장진단 등 진단기술 고도화를 통한 감염병 확산 방지 및 진단 지침 개발을 통한 치료효과 증진 | 신규 2개 과제당 최대 2년 연간 3~8억 원 | 자유공모 (품목지정) |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 감염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 및 기술기반 확보 | 신규 9개 과제당 최대 2~4년 연간 3~15억 원 | 자유공모 (품목지정) |
글로벌백신기술선도화 | 신변종 감염병 위기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국산 백신개발 및 글로벌 시장진입까지 목표로 한 백신개발 기반 구축 | 계속 40개 과제당 최대 2~3년 연간 5~10억 원 | 자유공모 (품목지정) |
◾︎ (지원조건) 정부출연금, 기업참여시 매칭
* 기관유형별 기관부담연구개발비 비율 차등
◾︎ (신청・접수)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www.htdream.kr)에 온라인 신청・접수
◾︎ (선정절차) 신규과제 공고・접수 → 사전검토 → 서면평가(필요 시) 및 발표평가 → 평가결과
심의 → 예비선정 공고 및 결과 확정 → 과제 협약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한림원의 목소리 제 108호] 디지털 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와 정책 제언
-
다음글
- [과학기술정책 Brief] 신산업 인력정책, 업종별 수급전망 아닌 통합적 수급 변화 모니터링 체계로 조속히 재편해야
지식
동향
- 정책동향 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시행으로 희귀·난치 질환자에게 새로운 치료기회 제공 (’25.2.19.) 2025-04-24
- 기술동향 식약처,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T 치료제 개발 시 고려사항(민원인 안내서)’ 제정 (’24.12.20.) 2025-04-18
- 기술동향 차세대 플랫폼, 오가노이드 암, 희귀질환 연구, 약물 스크리닝에 독보적 활용 차세대 혁신 치료제로써, 오가노이드 주목 2024-10-07
- 산업동향 MASH 치료제 개발과 글로벌 시장 분석 2025-04-09
- 기술동향 유전자가위 기반 치료제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