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24년 1호] (정책동향)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 (美 OSTP, 12.20)
- 등록일2024-02-06
- 조회수1982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1-26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 바이오경제#데이터 인프라#바이오기술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 (美 OSTP, 12.20)
◈본문
■ 미국 과학기술정책국(OSTP)이 기존 데이터 인프라 현황과 한계 분석을 바탕으로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고찰하고 관련 정책 권고사항을 제시
- 바이오경제 혁신 촉진 및 바이오기술•제조 발전을 위해 고품질, 안전성, 접근성이 확보된 바이오 데이터세트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견고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
- 반면, 기존 연방 데이터 인프라 지원 메커니즘은 장기 영속성, 검색 가능성을 확보하거나 데이터 스토리지 수요 급증, 데이터 유형과 계산 능력 진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 보유
[ 기존 데이터 인프라의 한계 및 정책 권고사항 ]
항목 | 세부 내용 | |
기존 인프리의 한계 | 데이터 및 전산 인프라 | • 지속 가능한 리소스 부족 • 기존 데이터 및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접근방식 간소화 미흡 • 해당 리소스 및 사용 방법에 대한 사용자 커뮤니티의 지식과 이해 저조 |
데이터 | • 메타데이터 부재로 인한 데이터 품질 저하 • 기존 표준과 표준화되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 간의 부합 문제• 데이터 유형 간 통합 역량 부족 및 아날로그 데이터 접근 능력 제한 • 바이오경제와 관련된 핵심 분야의 데이터 부족 • 개인정보 보호, 윤리, 국가 안보 문제를 비롯해 데이터 생성•사용이 사회와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미흡 | |
데이터 보안 | • 개인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는 민군겸용 정보 및 독점 데이터에 대한 보호 장치 마련 필요 | |
정책 권고사항 | ①︎ 데이터와 전산 자원을 연계하는 데이터 생태계 설계•지원•통합 ②︎ 바이오경제 데이터 생태계를 육성•강화하는 공통의 모범 사례 확립 및 표준 개발 ③︎ 기존 데이터•메타데이터를 식별하고 신규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자원 제공 ④︎ 혁신 지원 및 데이터 환경 보호를 병행하는 보안 관행 적용 및 정책 개발 ⑤︎ 데이터 과학 및 STEM 분야 참여 확대를 위한 연방 고용 메커니즘과 교육•훈련 조치 포함 ⑥︎ 핵심 분야(START*) 집중 투자를 검토함으로써 실행 가능성과 파급효과를 파악하고 대규모 투자 방향을 설정 * (Strategically Targeted Areas for Rapid Transformation) 동 보고서의 제안 조치를 시범적으로 이행할 데이터 격차 확인 분야(바이오리액터 발효,非인간 유전체 서열 분석 등) ⑦︎ 정부 부처 간 투자•노력 •자원 조정을 위한 조직 구성(외부 자문위원회 등) |
(참고 : OSTP, Vision, Needs, and Proposed Actions for Data for the Bioeconomy Initiative, 2023.12.2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