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405] 주요 4대국 비대면 진료 시장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24-03-04
- 조회수1885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자료발간일
2024-02-2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비대면 진료#동향#전망#주요 4개국
주요 4대국 비대면 진료 시장 동향 및 전망
[보건산업브리프 Vol. 405]
국제의료시장분석 팀 한미선, 이가영, 박진영
◈ 목차
I. 개요
II. 비대면 진료개념
III . 주요국 비대면 진료 현황 및 정부 정책
IV. 전망 및 시사점
◈본문
I 개요
◉︎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들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비대면 진료 이용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한시적으로* 유선 상담 및 처방을 허용하며 COVID-19 의료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 바 있음
* 2020년 2월 24일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 총 1,419만 명을 대상으로 3,786만 건의 비대면 진료가 실시됨
◉︎ COVID-19 기간동안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의 의료기관과 의료시스템은 비대면 진료에 상당 부분 의존하였으며, 각국의 의료기관은 비대면 진료 관련 기술 및 인프라에 투자를 확대
◉︎ ’23년 5월 5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COVID-19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해제 발표 이후에도 계속되는 일상의 비대면화 및 디지털화에 따라 비대면 진료를 확대하려는 국가들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므로, 해외의 비대면 진료동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
◉︎ 따라서 본 브리프에서는 비대면 진료에 관한 세계 주요국 정부 정책 및 산업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관련 전망을 함께 제시하고자 함
II 비대면 진료 개념
■ 비대면진료 정의
◉︎ 비대면 진료는 환자가 의료인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수단을 이용해 의료서비스를 받는 형태의 진료임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보건의료종사자들이 진단, 치료, 질병 및 부상의 예방, 연구와 평가, 개인과 지역사회의 건강 증진 이익 등을 위해 원거리를 주된 요소로 하며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을 사용하여 보건의료서비스를 공급하는 행위'로 비대면 진료를 정의한 바 있음
◉︎ ’20년 1월에 발간된 OECD 보고서 'Bringing Health Care to the Patient:An Overview of the Use of Telemedicine in OECD Countries’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는 ‘원거리에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사용하는 진료'를 의미함
◉︎ 비대면 진료는 크게 △︎원격 모니터링(Remote monitoring) △︎저장 및 전달(Store and Forward) △︎대화형[실시간] 비대면 진료(Interactive Telemedicine) 등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됨
- (원격 모니터링) 모바일 장치 및 플랫폼을 사용하여 일상적인 의료 검사를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의료종사자에게 결과를 전달함
- (저장 및 전달) 원격 모니터링과 유사하지만, 시간에 덜 민감하고 전송과 응답사이의 지연이 허용되는 임상 데이터에 사용됨
- (대화형 또는 실시간 비대면 진료) 의료서비스 제공자와환자 간의 직접적인 동기식 통신방식을 의미함
◉︎ 이외에도 Telehealth, E-Health(Electronic health), U-health(Ubiquitous health), M-health, Smart-health, Telemedicine등의 유사용어로 비대면 진료를 표현하기도 함
〈비대면 진료 및 광범위한 E-Health 생태계〉
출처 : OEC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Future of Telemedicine, 2023.01.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정부의 기업 R&D 재정지원 전략성 강화를 위한 정책 연계 방안 탐색 연구
-
다음글
-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월호] 과기정통부, 12대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완성 및 핵심 프로젝트 선정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소재 연구동향 2025-03-2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환경 대응형 생분해성 바이오융합 플라스틱 소재 개발 동향 2025-03-10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2025-02-17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국내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02-17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