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변혁적 STI 정책으로의 과감한 전환 합의

  • 등록일2024-06-17
  • 조회수1318
  • 분류정책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30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변혁적 STI 정책#과학기술정책
  • 첨부파일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 변혁적 STI 정책으로의 과감한 전환 합의


 

 

◈본문


  • ✔︎변혁적 OECD STI 정책 아젠다 발표(’24.4.)

  • 2024년 4월, 파리에서 “공동의 문제와 변혁적 액션” 을 주제로 OECD 과학기술 장관회의가 개최됨

  • ╺︎이번 행사는 2015년 대전 과학기술 장관회의 이후 9년만이며, 참가국 51개국 포함 600여명이 참석

  • ╺︎OECD가 4월 24일에 채택한 파리 선언문은 총 4가지 세션*으로 구성

  • 참가국들은 과학기술정책의 과감한 변화를 촉구하는 OECD의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를 강력 지지

  • ╺︎선언문에 첫 번째로 포함된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Agenda for Transformative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ies)에서 OECD는 주요 정책영역들에서의 과감한 변화를 강조

  • ╺︎장관회의 직후 개최된 124차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총회에서도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는 OECD가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핵심 주제로 선정됨

  •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가 제기된 배경 및 논의 경과

  • OECD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과학기술의 역할을 돌아보며,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지정학적 긴장, 불평등 확대 등 최근의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STI 정책의 목표와 비전, 정책 수단과 프레임워크 전반에 대한 재점검의 필요성을 제기

  • ╺︎(2021.4.) OECD는 ‘코로나19 이후 과학기술혁신의 미래(What Futur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after COVID-19?)’ 라는 보고서를 통해 회복력, 포용성, 지속가능성이라는 새로운 정책 목표의 중요성 강조(OECD, 2021a)

  • ╺︎(2021.10.) 제119차 CSTP 총회에서 코로나19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여 지속가능성, 회복력, 포용성을 위한 전환(transition)을 지원하는 ‘S&T Policy 2025’ 이니셔티브*를 제안(OECD, 2021b) 

  • ╺︎(2021.12.) OECD는 ‘사회의, 사회를 위한 기술(Technology in and for society)’ 라는 워크숍을 통해 포용적 혁신의 필요성을 제기(이명화, 2022)

  • ╺︎(2023.10.) 제123차 CSTP 총회에서 OECD는 S&T Policy 2025의 핵심 성과물로서, 변혁적 STI 정책을 제안하며, 산적한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TI 정책 및 거버넌스의 재설계를 주장(OECD, 2023)

  •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에서는 3대 목표, 6개의 정책방향을 제시

  • 과학기술정책의 3대 목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포용성(inclusiveness), 유연성과 안보(resilience and security)이며, 이를 위한 6개의 정책방향(policy orientations)을 제시함

  • ╺︎6개의 정책방향은 ① 방향성 강화; ② 가치 기반 STI; ③ 혁신의 발현과 확산 촉진; ④ 유해한 기술과 관행의 중단; ⑤ STI 정책들 간 정합성; ⑥ 민첩성과 정책실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정책들과 비교하면 다음 표와 같은 차이가 나타남


• 그림 1 •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 개요


• 그림 1 • 변혁적 STI 정책 아젠다 개요



• 표 1 • 기존 및 변혁적 정책에 대한 비교


  • ✔︎ 이러한 6개의 정책방향을 고려하여 10대 정책영역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

  • 10대 정책영역* 중에서 특히 신흥기술, 범정부 차원의 정합성, 그리고 국제협력은 우리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

  • (신흥기술) 변혁적 목표 달성을 위해 기술 발전을 지속하면서도 신흥기술의 잠재적 위험에 대비한 글로벌 기술 거버넌스* 강조

  • ╺︎이번 장관회의에서 기술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는 ‘신흥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에 대한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Anticipatory Governance of Emerging Technologies)’라는 제목하에 5개 요소들 (가치 기반, 전략적 인텔리전스, 이해당사자 참여, 민첩한 규제, 국제협력)과 함께 소개됨(OECD, 2024c)

  • (범정부 차원의 정합성) 부처간, 중앙 정부와 지자체 간 정책의 일관성을 확대하고 복잡한 의사결정 체계 간소화

  • ╺︎변혁적 정책 아젠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부처와 다양한 층위의 정부들이 모두 노력해야 하는 만큼 범정부 차원에서 우선순위와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조정하고 일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복잡한 의사결정 체계는 거래비용 증가, 우선순위 희석, 리더십 부족, 책임의 모호함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범정부적인 조정을 지원하는 스킬과 조직적 역량, 인센티브 등에서 새로운 접근 모색

  • (국제협력) 오픈 사이언스를 지향함과 동시에 연구진실성(research integrity)과 안보(security)에 대한 대비, 글로벌 이슈들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포용적 접근 확대

  • ╺︎국제사회에서 제기한 오픈 사이언스 아젠다에 맞춰 STI 성과물들은 가능한 오픈하는 것을 지향하면서도, 동시에 최근 글로벌 연구환경에서 제기되는 연구안보와 연구진실성에 대한 대비 필요

  • ╺︎또한 국제협력과 의사결정에서 동등한 파트너로서 개발도상국들의 역량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펀딩 기관들과의 협력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펀딩 메커니즘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