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혁신 국가, 덴마크: 덴마크 혁신생태계 특징과 시사점
- 등록일2024-06-25
- 조회수1315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6-12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덴마크#혁신생테계#글로벌 비즈니스
- 첨부파일
혁신 국가, 덴마크: 덴마크 혁신생태계 특징과 시사점
◈본문
■ 덴마크 혁신생태계 분석의 필요성 및 한국의 혁신생태계의 문제점
● 덴마크는 단순히 복지가 발달한 북유럽 국가 중 하나가 아니라 고도로 자본집약적이며 기술중심적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음
● 한국의 혁신생태계는 혁신 기업, 혁신 정책, 혁신 기관의 관점에서 한계를 내포
- (혁신 기업)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및 유니콘 기업 대다수가 내수 시장 기반
- (혁신 정책) First-Mover로서의 선도 정책 및 미래 혁신환경 변화 대응전략 부재
- (혁신 기관) 정부부처 간 정책 중복 및 지원기관의 혁신지원 전문성 부족
● 덴마크 혁신생태계 사례 분석 대상으로 노보노디스크(기업), 덴마크 국가 개혁 프로그램(정책), 이노베이션센터 덴마크(기관), Tech BBQ(컨퍼런스)를 선정하여 분석
■ 덴마크 혁신생태계의 특징과 한국에의 시사점
(1) 다양한 산업 및 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글로벌 지향의 혁신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과 함께, 스토리와 가치, 철학을 담은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기업 성장지원 전략 마련
(2) 국가 미래 혁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 미래 국가의 정체성 및 경제성장을 위한 전략적인 산업·혁신 경쟁력 강화 방향을 수립, 하위 정책(기술·산업·기업 정책 등)의 연계·정합성 강화
(3) 혁신기업에 대한 협력형 일관 지원 체계 구축
- 혁신기업 지원에 대한 정부부처 간 정책 중복성 제거 및 역할 분담 및 혁신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조직 간 협력 거버넌스 구축
(4) 혁신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거점 구축
- 해외 주요 혁신생태계의 특성 및 강점에 기반한 전략적인 혁신 거점 설립·운영 방안 수립과 함께, 현지 혁신생태계 주체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5) 혁신/비즈니스 생태계의 전략적-지역적 연대의 균형
- 기술패권 시대, 전통적 우방과의 전략적 기술 동맹과 함께, 아시아 혁신 선도국가와의 지역적 연대를 고려한 한국의 혁신생태계 연계성 강화에도 초점
(6) 산업/기술 분야별 혁신/기업생태계 모니터링 강화
- 신기술·신산업 혁신정책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혁신/기업생태계 현황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수요 기반 맞춤형 혁신지원 정책 수립 필요
(7) 사회적 임팩트 및 다양성을 위한 혁신 투자 확대
-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및 사회적기업·소셜벤처 지원 생태계 구축과 함께, 여성, 지역, 청년 등 혁신창업 소외 계층에 대한 생태계 접근성 강화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
다음글
- [제264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중국의 바이오데이터 수집 및 의료 AI 개발 현황 보고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