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 등록일2024-07-04
- 조회수1256
- 분류정책동향
-
자료발간일
2024-06-28
-
출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장비산업육상사업#성과분석#시사점
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 성과분석 및 시사점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 목차
Ⅰ︎.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 개요
Ⅱ︎.사업 추진내역 및 주요성과
Ⅲ︎.우수 연구성과 사례
Ⅳ︎.연구장비 산업 및 R&D 발전방안
Ⅴ︎.시사점
◈본문
Ⅱ︎.사업 추진내역 및 주요성과
▶︎사업 추진 내역
■︎(연도별 투자 규모) 국산 연구장비 개발을 통한 연구장비산업 육성을 위해 2020~2024년간 총 정부투자 35,264백만원 투입
<표2> 연도별 투자 규모
(단위: 백만원)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합계 |
연구장비 개발 및 고도화 지원 | 7,076 | 8,038 | 8,325 | 5,261 | 633 | 29,333 |
연구장비 기업 역량강화 | - | 1,700 | 1,930 | 1,200 | - | 4,830 |
기획평가관리비 | 255 | 485 | 361 | - | - | 1,101 |
합계 | 7,331 | 10,223 | 10,616 | 6,461 | 633 | 35,264 |
■︎(연도별 지원 과제 수) 사업기간 동안 '연구장비개발 및 고도화지원' 총 22개 과제, '연구장비 기업 역량강화' 총 2개 과제 선정, 지원
<표3>연도별 지원 과제 수
■︎(과제 수행 주체) 사업에 참여한 주관/공동 기관은 24개 과제에 총 54개 연구기관 및 기업이 참여. 이중 기업이 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출연(연) 28%, 대학 24% 비율을 차지
<표4> 주관/공동 과제 수행 주체
Ⅴ︎.시사점
▶︎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은 국산 계측·분석 연구장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여 연구장비 핵심기술 확보, 상용화 개발, 활용기반 조성에 기여
■︎’20~‘24(5년) 간 정부투자 약 352억을 투입하여 연구장비 개발, 활용확산 기반조성, 기업역량 강화 등 24개 과제 지원
■︎사업을 통해 연구장비 시제품/완제품 24건, 기술이전 13건(7.25억원), 국내외 특허 62건, SCI(E) 논문 40건, 제품판매 매출액 18.6억원 등 성과 창출
▶︎국산 연구장비 개발을 위해 연구기관과 기업 간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공동연구를 통해 기업의 기술력/제품개발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
■︎연구장비산업육성사업 내역사업 목적에 따라 주관 연구기관을 공공연구기관 또는 기업이 수행함으로써 기술력
확보 또는 상용화를 중점으로 사업추진
■︎연구장비 개발‧제조 선진국인 일본의 ’첨단계측분석기술‧기기개발사업(’04~’20)’의 경우 산‧학‧관과의 공동
연구개발을 요건으로 장비개발 R&D지원
■︎연구장비 개발 성공을 위해서는 개발하는 연구장비에 대한 수요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개발한 제품이 기업에서
비즈니스가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연구장비 분야 R&D 발전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투자하고, 연구장비 개발부터 신뢰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개발 기간과 연구비 확보 필요
■︎미국 NSF에서 지원하는 ‘주요 연구 기기 프로그램(Major Research Instrumentation Program, MRI)’은
장비개발에 ’24년 기준 최대 5년, 400만 달러까지 지원
▶︎연구장비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국내 연구장비 기업의 성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우수 인력공급 및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용자(연구자)의 신뢰도 제고를
통한 국산 연구장비 수요 확대가 요구됨
■︎국산 연구장비 경쟁력을 강화 및 수요 확대를 위해서는 AI 기술, 측정분석 자동화, 데이터 관리/공유 기능 강화 등
최신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첨단 제품 이미지 제고 및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노력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