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269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성 분석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4-09-06
- 조회수949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4-08-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SW정의자동차#SDV#과학기술#ICT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성 분석 보고서 발표
[제269호 과학기술&ICT 동향]
◈ 목차
Ⅰ 이슈 분석 :
■SW정의자동차(SDV) 기술 동향 및 시사점
Ⅱ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핵심・신흥기술 국가 표준 전략 실행 로드맵 발표
■미국, 중국의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혁신성 분석보고서 발표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성 분석 보고서 발표
■일본, 대학지원포럼 PEAKS 산학인재유동워킹그룹 액션플랜 발표
■일본,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 보고서 발표 29
■중국, 「중국식 현대화 추진을 위한 전면적 개혁 심화 결의안」 채택
■중국, 특허 개방허가 제도 전면 실시 관련 통지 발표
■EU, 인공지능법(AI Act) 발효 35 2. ICT 37 ‘QLC(Quad Level Cell)’ 기반의 낸드플래시 수요 확대
■차세대 메모리 ‘CXL’, 기술우위 확보 연구・개발 한창
■오픈AI・퍼플렉시티, AI기반의 문답 검색엔진으로 구글에 도전
■구글 등 AI와 머신러닝을 접목한 기후 예측 모델 연구 전개
Ⅲ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Ⅳ 주요 통계
◈본문
3 미국,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성 분석 보고서 발표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중국 정부의 전략적 지원의 결과로 나타난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의 혁신적인 변화와 한계 등을 분석한 보고서* 발표(’24.7.)
* How Innovative Is China in Biotechnology?
○정교한 바이오 생태계를 보유한 미국과 달리 중국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후발 주자로 여겨졌으나, 종합적인 국가 전략 등에 힘입어 보다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추세
○중국 제약산업의 글로벌 부가가치 비중이 2002년 5.6%에서 2019년 24.2%로 증가하는 등 생명공학 분야 중국 산업의 혁신성이 향상되고 글로벌 입지가 확대
- (신약) 2023년 중국은 자국 내에서 5개의 혁신적인 신약을 승인했으며, 같은 해 미국 FDA는 3개의 중국 신약을 승인
- (아웃라이선싱) 중국의 아웃라이선싱 계약이 2019년 15건에서 2023년 33건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중국 제품에 대한 다국적 기업의 신뢰가 향상되었음을 의미
- (임상시험) 중국의 임상시험 활동 증가량은 미국을 앞서고 있으며* , 환자의 모집 속도가 빠르고 임상시험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점 보유
* 중국은 2017년 2,979건 → 2021년 6,497건으로 증가했으나 미국은 동기간 4,557건 → 5,008건으로 소폭 증가했으며, 중국은 특히 종양학 분야의 임상시험이 급증
- (논문) 피인용 상위 10% 논문 중 중국의 논문 수는 2012년 139편에서 2022년 671편으로 급증했으나, 동 기간 미국은 218편에서 145편으로 감소
- (특허) 2013부터 2023년까지 중국 기업의 PCT 출원 건수는 266건에서 1,920 건으로 720% 이상 증가했으며, 2021년부터는 유럽연합의 연간 출원 건수를 추월 ※ 생명공학분야 중국의 특허 점유율은 2013년 4.8%에서 2023년 19.8%로 15%p 증가
- (벤처캐피탈) 전 세계 생명공학 벤처캐피탈 자금 중에서 중국에 본사를 둔 기업이 조달한 자금의 비중이 2010년 3.5%에서 2020년 18.9%로 증가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국내 생명공학 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포괄적인 정책 추진이 주효
1) 초기 환경 구축
- 1980년대 중국 정부는 생명공학 R&D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장먼과 상하이에 위치한 대규모 생명공학 기지* ’와 ‘중국 과학자를 위한 국가 훈련센터 실험실** ’ 설립
* 기초연구를 생산 단계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장먼 기지’는 당밀을 발효하여 단일 세포 사료 단백질을, ‘상하이 기지’는 인슐린 및 표피 성장인자 등의 가공 기술을 개발 시도
** 북경 대학교, 푸단 대학교, 베이징 바이러스 연구소 등 우수 생명공학 연구기관에 11개의 실험실을 설립하여 기술과 자원을 통해 인프라 개선 25
2) 국가 차원의 생명공학 전략
- 중국은 생명공학을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핵심신흥사업으로 지정하고, 자국의 산업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생명공학 전략을 개발
- 제13차 5개년 계획(2016~2020)에서 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 우선 목표로서 유전체학의 광범위한 적용, 정밀 의학 개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 및 세포 은행 설립 등의 내용을 포함한 생명공학 발전 계획 발표
-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에서는 생명공학과 IT의 통합을 촉진하고, 생명공학과 제약의 개발을 가속화하며 바이오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업 확장 도모
< 생명공학 발전을 위한 국가적 지원 >
3) 가격 통제
- 중국은 국가의료보장국을 중심으로 의약 가격 통제를 시행하고 정부 의약품 보험 목록 선정 등에서 중국 기업을 우대하여 자국의 산업 역량을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