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2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연감

  • 등록일2024-09-27
  • 조회수784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2022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연감




 

◈ 목차

  • I.개관
    1 보건의료 R&D 중장기 전략 및 중점과제
    2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R&D)
    3 근거법령
    4 운영체계

  • II.지원 및 성과 현황
    1 분석 대상
    2 지원 현황
    3 주요 성과

  • III.2022년 주요 활동
    1 주요 활동

  • IV.부록
    1 2022년 지원과제 경쟁률
    2 2022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본문


1 보건의료 R&D 중장기 전략 및 중점과제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 비전: 보건의료기술 혁신으로 국민 모두가 건강한 내일

  • 목표:

  • 1.건강수명 연장

  • 2.보건산업 수출 증대

  • 3.신규 일자리 창출

제 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3대 전략, 9개 중점과제

  • 1.전략 1 공익적 가치 중심의 R&D 투자 강화

  • 고비용 보건의료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R&D 투자

  • 질환·계층·남북 주민 간 건강 형평성 강화

  • 예방·관리 중심의 미래 의료 기반 확충

  • 2.전략 2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 산·학·연·병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 연구·정책협력 네트워크 강화

  • 혁신 뒷받침 R&D 지원 시스템 강화

  • 3.전략 3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미래형 신산업 육성

  • 미래의료 신산업 육성

  • 글로벌 수준의 규제 합리화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좋은 일자리 창출


2 2022년 보건복지부 R&D 정책방향

2022년 전략목표
국민 건강 중심의 투자 강화로 더욱 건강한 대한민국,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산·학·연·병 협력 강화


4대 전략별 중점 추진방향:

  •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1.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연구 기반 조성

  •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2.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 확대 
    3. 약·의료기기·DNA 등 차세대 유망기술 지속 투자

  •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4. 의료 사각지대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 확대 
    5. 만성질환·정신건강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 극복 중점 투자

  •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6. 산·학·연·병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 참고 :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수립의 법적 근거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제4조(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의 수립)

① 정부는 보건의료기술을 개발·촉진하기 위하여 5년마다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여야 한다.

②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계획을 종합하여 기본계획안을 작성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이를 확정한다.

(중략)

④ 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전년도 실적 및 다음 연도 계획을 토대로 연도별 시행계획(이하 “시행계획”이라 한다)을수립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보고하여야 한다. (생략)


2022년 주요 R&D 추진전략별 사업 편성 

  • 감염병 위기 대응에 1,945억원(27.8%), 첨단 유망기술에 2,472억원(35.4%), 국민 중심 R&D에 1,577억원(22.6%), 의료현장 연계 지원에 997억원(14.3%) 투자

[표 1] 2022년 보건복지부 주요R&D 추진전략별 사업 편성



▶ 참고 :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추진의 법적 근거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제5조(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① 정부는 기본계획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이하 “연구개발사업”이라 한다)을 수행한다.

② 보건복지부장관은 연구개발사업으로 연도별ㆍ분야별 연구과제를 선정하여 다음 각 호의 기관이나 단체 등과 협약을 맺어 연구하게 할 수 있다. (생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