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 글로벌 STEM 인재 프로그램 현황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4-10-31
- 조회수61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4-10-1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핵융합스타트업#에너지안보#기술패권경쟁#탄소중립기술
- 첨부파일
미국, 글로벌 STEM 인재 프로그램 현황 보고서 발표
[제272호 과학기술&ICT 동향]
◈ 목차
I.이슈 분석
II.주요 동향
1. 과학기술
2. ICTIII.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IV.주요 통계
◈본문
Ⅰ 주요국의 핵융합 스타트업 동향 및 시사점1)
◆(핵융합의 부상)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써 핵융합 기술은 중요한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음
●특히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안정적인 대규모 전력 공급의 필요성 속에서 핵융합 기술의 잠재력에 관심이 높아짐
●데이터 센터와 AI 기술의 급성장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30년까지 미국 내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가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2)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대안으로 핵융합 에너지가 부각되고 있음
◆(핵융합 스타트업 붐)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핵융합 스타트업들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민간 자본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이 가속화
●Helion Energy, CFS와 같은 스타트업들이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상업적 핵융합 가능성을 제시
◆(美中 기술패권 경쟁) 중국은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여 핵융합 기술에서 미국을 위협할 수준이며, 미국은 이에 대응해 민관 협력 모델과 스타트업을 통한 기술 개발로 격차를 넓히려 하고 있음
●중국의 대규모 연구 설비는 핵융합 기술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미국에 대한 기술적 위협이 점증될 것이라는 평가를 불러옴
●AI와 데이터 센터의 성장으로 전력 공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국과 미국은 모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
◆본고는 상기한 글로벌 핵융합 기술 경쟁을 스타트업 중심으로 알아보고 한국 정부의 핵융합 실현 가속화 전략 차원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함
●핵융합 스타트업의 투자 및 창업 추이, 정부 R&D 투자 등을 검토하고,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스타트업의 기술 개황, 협력 및 향후 전망 등을 검토
●한국의 핵융합 관련 기업 활동을 확인하여 한국의 상황에 대하여 검토
1 글로벌 핵융합 스타트업 동향
가. 핵융합 스타트업의 성장 추세와 투자 추이
◆핵융합 스타트업은 주로 민간 자금에 의하여 급성장하고, 최근 공공 자금 비중이 증가하여 ’23년 누적 투자액 71억 달러를 돌파하며 꾸준한 성장세
●’21년부터 ’23년까지 핵융합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주로 민간 자금에 의존했으며, 전체 투자액의 약 80% 이상이 민간 부문
●공공 자금은 ’21년 1%에서 2023년 17%까지 비중이 증가하여 정부의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
< 2021∼2023년 핵융합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규모 (단위: 백만 USD) >
주 : FIA 설문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응답률에 따른 오차 존재
출처 : FIA(2024), The Global fusion Industry in 2024.
●’22, ’23년 연간 투자액은 전년도에 비해 다소 감소했지만, 공공 자금의 지속적인 투입 덕분에 투자 감소폭이 제한적임
- 민간 투자의 경우 ’06년 이후 ’21년 투자액이 28억 5백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전통에너지기업, VC 뿐 아니라 아마존 창립자인 제프 베조스, BEV3), Google 등 빅테크 창업자의 투자가 이어짐●전체 누적 투자액은 ’21년 48억 6천만 달러에서 ’23년 71억 2천만 달러로 증가하여 전반적인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