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국 「ARPA-H 전략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등록일2024-11-27
- 조회수899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4-11-1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RPAH#보건의료혁신#전략계획#고위험연구
미국 「ARPA-H 전략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KISTEP 브리프 154]
◈본문
(2024.11.12, 투자기획조정센터 전수진, ㈜로운인사이트 한민규)
1 개 요
▢︎2022년 3월 미국은 모든 사람의 건강을 향상하기 위하여 가장 도전적인 보건 문제와 관련하여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결책을 도출할 ARPA-H를 설립
○미국은 2022년 회계연도에 알츠하이머, 당뇨병, 암과 같은 질병을 예방 및 발견하고 치료하는 돌파구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내에 ARPA-H를 설치(Francis S. Collins, 2021)
-︎NIH에 속하는 부서이기는 하지만, 설립 모델이었던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사례를 인용하여 NIH의 일반 연구소들과는 구분되는 문화와 조직을 갖도록 구성할 것을 계획
* 범정부적・전사회적 위협에 적시 대응하는 R&D를 지원하며, 도전적・혁신적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를 통하여 ARPA-H는 NIH 내에 축적된 전문성을 함께 활용하면서도, 쉽게 달성하기 어렵고 모든 환자에게 이익을 줄 수 있는 혁신 잠재력을 갖는 돌파구 기술 등을 개발한다는 ARPA-H의 고유한 임무를 수행
○최근 ARPA-H는 첫 전락계획서를 통하여 2026년까지의 전략계획을 발표하였고, 이를 통하여 ARPA-H의 사업 기획 및 예산 실행의 기초를 제시(ARPA-H, 2024)
-︎2023년 통합세출법(Consolidated Appropriations Act)에 따라 매 3년마다 전략계획을 수립하여 상원의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 상원 세출위원회, 하원 에너지 및 상업위원회, 하원 세출 위원회에 제출
-︎2024~2026년 기간 동안 실행할 ARPA-H의 투자방식 및 지침, 기관목표 7가지와 실행과제를 제시하였고, 그로부터 도출하고자 하는 예상 성과를 명시
▢︎미국 ARPA-H의 ‘2024~2026 전략계획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유사 사업을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촉발된 보건의료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혁신 체계로서 한국형 ARPA-H 도입을 2022년에 제안하였고,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선정된 후 사업계획적정성검토를 거쳐 2024년 7월부터 본격 착수
-︎5대 임무로 보건안보 확립, 미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혁신, 복지돌봄 개선, 필수의료 혁신을 설정하였고, 이중 보건안보 확립 및 복지돌봄 임무에서 프로젝트 기획 및 추진을 시작
○보건의료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위한 고위험 연구를 추진하는 대형 사업을 한국과 미국에서 거의 동시에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두 나라의 정책 및 사업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우리나라 ARPA-H의 성공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함
<표 1> 미국과 한국의 ARPA-H 비교
* ARPA-H, “ARPA-H Health Equity Fact Sheet”, 2024
2 미국 ARPA-H 전략계획 2024~2026의 주요 내용 및 특징
▢︎미국 ARPA-H는 DARPA를 모델로 하여 보건의료 R&D 전담기관인 NIH 산하에 2022년에 설치 되었으며, 해결하기 어려운 보건의료 난제 연구를 위해 2024년 현재까지 40억 달러 투자
○ARPA-H의 목표는 모든 계층을 위한 질병 예방 및 치료 역량 강화 및 플랫폼 기반의 보건의료 혁신 촉진으로 설정하였음
-︎기존의 연구 지원 방식으로는 해결하기 어렵고 실패 위험성이 높은 보건의료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자 함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플랫폼을 구축하여, 모든 계층의 환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평등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 보건 향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