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 등록일2024-12-02
  • 조회수534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1-13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혁신정책#거버넌스#메타거버넌스#과학기술
  • 첨부파일

 

 

일본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변동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 목차

  • I.혁신정책 거버넌스 방향과 관점

  • II.일본 혁신정책 거버넌스 설계부문 분석

  • III.일본 혁신정책 거버넌스 관리부문 분석

  • IV.분석결과 및 한국에의 시사점

 

 

◈본문

| 요 약 |

  • 분석 배경

  • 일본의 과학기술 지표의 열세와 연구성과의 저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측면에서 상대적 강점을 가지고 가시적 혁신성과를 창출하는 동력 이해 

  • 일본 과학기술혁신의 통합적 혁신정책으로의 전환이 가지는 지향점, 혁신정책과 정권별 전략 간의 연계성 파악 필요성 

  • 과학기술거버넌스에 한정되었던 기존의 일본 사례분석에서 나아가 국가 혁신정책 차원에서 거버넌스 변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비교 시사점 도출


  • 분석 관점과 질문

  • 메타거버넌스의 상호작용 방식을 분석에 적용
    - 일본이 현재의 혁신정책 거버넌스를 가지게 한 상호작용 방식은 무엇인가?

  • 혁신정책 거버넌스 설계 및 관리의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변동의 주요 내용을 분석
    - 설계 부문은 정책과 구조, 관리 부문은 행위자 참여방식과 관리수단 중심 분석


  • 분석결과 1: 거버넌스 설계부문

  • 내각별 국가 성장전략이 과학기술혁신정책 및 중요기술별 전략과 연계되어 문제해결 지향

[요약 그림 1] 국가 성장전략과 통합적 혁신정책 수립 경과(’01~’22)국가 성장전략과 통합적 혁신정책 수립 경과(’01~’22)
주: 성장전략 및 혁신정책, 중요기술별 전략의 세부내용과 연계성은 본문 <표 5>~<표-7> 참조자료: 저자 작성


- 정권별로 수립된 국가 차원의 성장전략이 지속적으로 문제해결 방향 제시 
- 과학기술혁신정책이 문제해결을 보다 강조하며, 과학기술혁신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 경제사회 문제에 대응하는 통합적 혁신을 지향하는 방식으로 변화 
- 국가 성장전략 - 과학기술혁신정책 - 중요기술별 전략 간의 상호 연계성


  • 내각부와 내각관방 중심으로 횡단적 행위자 구조 설계 
    - 내각별로 국가 성장전략의 명칭 변경에 따라 연계된 주요 행위자들이 연계성을 가지는 종합추진체계 설계 
    - 내각부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가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같은 과학기술혁신정책 기본 틀을 종합 기획·결정하는 핵심적 행위자로, 주요 관련 행위자를 횡단적으로 조정 
    - 정책회의와 함께 본부 등 횡단적 행위자가 국가 중요정책 설계 주도 
    - 내각부 내 특별기관(사무국 등) 및 내각관방 지원조직(분실 등)의 규모가 제2차 아베내각 시기(’12~)부터 점차 확대, 국가 혁신정책 수립과 특정 임무영역 지원

[요약 그림 2] 일본 내각 주요기구 중심의 혁신정책 거버넌스 프레임워크(’24)


자료: 저자 작성

  • 분석결과 2: 거버넌스 관리부문

  • 내각부와 내각관방의 민관 행위자의 협업형 정책설계 참여 확대가 기존 참여방식 대체, 증가하는 관료 인력 수요에 병임(併任)제도를 활용 
    - 내각 중심 행위자 참여 확대는 기존 족의원-관료 행위자 구조를 대체하는 것이며, 관료와 전문가사회의 내각 내 업무 참여 증대로 내각 행위자 규모가 점차 비대화 
    * 내각부 본부 및 내각관방 행위자 확대 현황은 본문 [그림 8]과 [그림 9] 참조

  • 문제해결 중심의 정책방향 전환이 본격화된 시기부터 혁신정책과 연계된 임무프로 그램을 구성·운영하며, 이 과정에서 CSTI는 기존의 전략예산을 임무프로그램 예산화
    - 임무프로그램은 문부과학성에서 내각부로 과학기술관계예산 조정 기능이 이관된 시기부터 출범, 기존의 전략예산이 SIP, BRIDGE 및 AMED 사업에 일부 활용 

[요약 그림 3] 주요 임무프로그램 현황 


주: 세부내용은 본문 <표 9>, <표 10>, <표11> 참조 

자료: 저자 작성

  • 분석결과의 해석

  • 일본은 지난 20여 년간 국가 차원에서 내각(정권)간 정책 연속성이 관측됨 
    - 일본은 2001년 행정개혁 이후 정권별 국가 성장전략에서 일본 경제의 재생과 재해 복구 등 경제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의 방향과 주요 목표가 연계 및 발전

  • 최근 10여 년간 국가 차원의 성장전략-혁신정책-기술사업 간 연계성을 강화 
    - 정권별 성장전략이 혁신정책과 상호 연계되어 발전하는 가운데 2010년대부터 문제 해결 지향성이 보다 강화되며 이후 수립된 핵심기술별 혁신 전략 및 사업과도 연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