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3년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 등록일2024-12-06
  • 조회수440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2023년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보건산업브리프 Vol. 422]

 

◈ 목차

  • I.개요

  • II.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주요 결과

  • III.결론 및 시사점

 

 

◈본문

  • I. 개요

  • 보건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산업으로, 연구개발에서 생산까지 전반적인 가치사슬을 정부가 관리하는 대표적인 규제 산업
    - 신기술과 신산업이 등장할 때마다 정책적인 관리 및 규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국민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

  • 최근 혁신적인 바이오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의 도래가 보건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
    - 2020년 유전자 가위 기술, 2024년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 등 최근 노벨상 수상 경향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엿볼 수 있음

  • 또한, 코로나19팬데믹 사태로 인해 보건산업을 국가 안보의 관점에서 접근하게 되면서 정부의 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음

  • 즉, 기술 혁신에 따른 보건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보건산업 전반에 걸친 정부 투자의 증가 등은 관련 정책을 추진하기에 앞서 국민 인식 수준과 지지도에 대한 세밀한 파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음

  • 이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자 지난 2020년부터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있음
    - 일반국민(1,000명), 산업계(300명), 의료계(200명) 등 총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2023년도 인식조사는 ▲︎보건산업에 대한 인식, ▲︎첨단 보건의료기술·서비스에 대한 경험과 인식, ▲︎보건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 ▲︎바이오 클러스터에 대한 인식(산업계,의료계) 등으로 구성함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조사 개요>



II.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주요 결과

  • 1.보건산업에 대한 인식

1) 일반국민

  • 우리 국민은 보건산업의 기여도를 국민 건강 증진(82.8%), 국가 경제 발전(75.3%), 일자리 창출(56.4%) 순으로 편가하였으며, 향후 중요성 확대(84.8%), 성장 잠재력 측면(69.1%)에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함

  • 일반국민이 생각하는 보건산업의 국민 건강 증진에 대한 기여도는 2020년 80.4%, 2021년 81.7%, 2022년에는 85.9%로 증가하였으나 2023년에는 82.8%로 감소함
    - 국가 경제 발전 측면에서는 2020년 69.1%, 2021년 78.5%, 2022년 77.3%, 2023년 75.3%,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는 2020년 54.2%, 2021년 63.7%, 2022년 59.3%, 2023년 56.4%의 긍정적 인식도를 보임

<표1> 보건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