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4년도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시행계획

  • 등록일2024-12-12
  • 조회수590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2-02
  • 출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소재통합플랫폼#BioOne#데이터스테이션#민관협력기반조성#바이오재난대응체계

 

 

2024년도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시행계획


◈ 목차

  • I.시행계획 수립 계획

  • II.국내외 동향

  • III.2023년도 추진 실적

  • IV.2024년도 시행계획(안)

[별첨 자료]

 

 


◈본문

II. 국내외 동향

1. 글로벌 동향 

미국 

바이든 행정부,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Bold Goals for U.S.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수립(’23.3.)

※ 바이오경제를 촉진하는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새로운 목표와 우선순위를 발표하고, 바이오 경제를 안전하고 윤리적이며 공정하게 성장 약속 

-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는 고품질·광범위하고 쉽게 접근 가능하며, 생물학적 데이터셋이 美바이오경제 혁신을 주도하는 데이터 이니셔티브 수립 


EU

호라이즌 유럽 전략 계획(Horizon Europe Strategic Plan 2025-2027) 보고서 발표(’23.5.)

- 산업 지원을 위해 정책들을 강화하고, 활용성을 높여 사업 투자로 연계될 수 있도록 자금지원 전략 기술 플랫폼(Strategic Technologies for Europe Platform) 제안(’23.6.)

※ (3대 핵심기술) 생명공학기술(생체분자 및 생체분자 애플리케이션, 제약, 의료기술 및 작물생명공학기술, 바이오제조 등으로 분류), 딥테크 및 디지털 기술, 친환경 기술 


영국

공학생물학을 지원·성장시켜 혁신적 혜택 마련 및 위험관리를 위해‘공학생물학을 위한 국가비전(National Vision for Engineering Biology)’ 발표(’23.12.)

※ ➊새로운 공학생물학 운영그룹, ➋세계최고 R&D, ➌인프라, ➍인재와 기술,➎규제 및 표준, ➏더 넓은 경제영역 에서의 채택, ➐책임감있고 신뢰할 수 있는 혁신 등 공학생물학 활용 생태계 구축 



2. 국내 동향 

「생명연구자원의 확보ㆍ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개정(과기정통부)

디지털바이오 뒷받침을 위해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확보·관리 및 활용의 법적 근거 마련 등을 위해 「생명연구자원법」개정(’24.2.13., 공포)

- ❶생명연구데이터의 개념 구체화를 위해 ‘생명연구데이터’ 정의 신설, ❷연구자 편의성 제고를 위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기탁등록보존기관 지정 현황을 통합 고시, ❸기탁 및 등록 실적의 평가 반영 범위 확대*

*(기존) 기탁등록 실적의 해당사업 ➡ (개정) 해당사업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ㆍ관리 및 활용과 관련된 신규사업


국가전략기술 첨단바이오분야 전략로드맵 수립 (국가전략기술특별위원회, ’23.10.) 

바이오·의료 디지털 전환(DX) 및 비윤리적 활용·감염병 대응 자국주의에 대비한 핵심 기술·플랫폼 주권 확보를 통한 바이오 제조 강국 도약

소재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부품(대사경로·단백질·유전체) 정밀설계 플랫폼 확보 및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항원·약물 라이브러리 구축 

데이터

바이오·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클라우드 등 분석 인프라 제공, 데이터 분석 특화 AI 모델링 고도화

* 임상정보, 유전체정보, 마이크로바이옴, 라이프로그, 화학물 및 생리적·생화학적 특성정보 등

※ 융합연구 위한 한국인 코호트 데이터 구축, 클라우드 기반 분석플랫폼 정비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통과 (복지,과기,산업부,질병청, ’23.6.)

임상정보·유전체 데이터, 공공데이터 및 라이프로그 등을 통합한 100만 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개방(’24~’32)

※ (1단계 사업기간 및 사업비 / 예타통과 기준) ’24~’28년/6,066억 원(국비 6,040억 원)

소재

100만 명분 자동화 인체자원 제작 및 전수 검수체계 운영을 위한 기존 국립중앙인체 자원은행의 고도화

데이터

개인을 중심으로 통합된 바이오 데이터 축적 및 빅데이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뱅크 구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