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4년 세계혁신지수(GII) 결과 분석 -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

  • 등록일2025-01-03
  • 조회수450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2024년 세계혁신지수(GII) 결과 분석 -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

 

◈ 목차

⑴ 개요
⑵ 주요국 현황
⑶ 한국 현황




◈본문

1. 개요

ㅇ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2007년부터 매년 국가별 혁신역량을 측정하여 「Global Innovation Index」를 발간

  ∙ 「Global Innovation Index」는 최신 글로벌 혁신 동향을 파악하는 주요 통계 보고서로, 각국 정부와 기업이 자국 혁신 현황을                점검하고 증거 기반 혁신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정보 제공

  ∙ 특히, 각국의 혁신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소득 그룹 및 지역 내에서의 비교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지표 제공

    ※ (소득) 고소득(51개), 중상소득(34개), 중저소득(358개), 저소득(10개)으로 구분

    ※ (지역)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17개),  중앙·남아시아(10개),  유럽(39개),  북미(2개),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20개),

                 북아프리카·서아시아(18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27개)로 구분


ㅇ 보고서는 세계혁신지수(GII) 결과 이외에 글로벌 혁신 트래커(Global Innovation Tracker), 100대 과학기술 클러스터(S&T Clusters) 및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특별주제로 한 심층 분석 내용으로 구성

  ∙ (GII 2024) 혁신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를 종합하여 각국 혁신 수준을 지수화한 주요 핵심 통계

  ∙ (Global Innovation Tracker) GII를 분석하기 위한 보완적 도구로써, 혁신 주기 주요 4단계 에 따른 혁신 환경 평가 및 개선을 위한          추가 통계 제공

    * 본 보고서에서는  과학기술혁신 투자,  기술 발전,  기술 도입,  사회경제적 영향으로 구분

  ∙ (클러스터 순위) PCT 출원 특허와 과학 논문을 기준으로 글로벌 혁신 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100대 S&T 클러스터를 선정하며,              2024년에는 아프리카의 클러스터를 처음으로 조명

    ※ PCT 특허 데이터(WIPO, 2019-2023)와 SCIE 등재 논문 데이터(Web of Science, 2018-2022)를 출처로 하여, 특허 발명가 및 논문          저자 위치를 기준으로 산정  


ㅇ 2024년 세계혁신지수(GII)는 133개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했으며, 혁신 투입(Input)과 산출(Output)과 관련, 7개 항목 21개 세부            항목에 대한 78개의 지표를 통합해 구성

  ∙ (평가대상) 1개의 국가가 신규 추가 되어 총 133개 국가(전세계 인구 92.8%, 전세계 GDP 97.5%)를 포함 

     * 신규 추가국(1개): 바베이도스(Barbados)

  ∙ 2023년과 비교해 2개가 추가, 5개가 삭제·조정되어 총 78개의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정량 지표 63개, 설문 지표 5개, 복합 지표(지수)      10개로 구성


<표 1> 2023년, 2024년 Global Innovation Index 주요 내용 비교

 

자료) 「Global Innovation Index 2023」와 「Global Innovation Index 2024」를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표 2> 2024년 Global Innovation Index 구조




ㅇ 이번 호에서는 「Global Innovation Index 2024」의 결과와 원자료를 바탕으로 주요국 및 한국의 혁신 현황을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