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R&D투자 이머징 이슈 분석

  • 등록일2025-01-17
  • 조회수491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R&D투자 이머징 이슈 분석

기술동향브리프

 

◈ 목차


제 1장  연구 개요
제 2장  R&D투자 이머징 키워드 탐색
제 3장  R&D투자 이머징 이슈 분석
제 4장  R&D투자 아젠다
제 5장  결론 및 시사점

 

◈본문


제 1장  연구 개요


1.1 작성배경

  •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23~’27)과 연계하여 매년 투자방향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대두될 R&D투자 이슈 파악

  • 투자-연구개발(R&D)-성과로 이어지는 전주기 과정에서 주요 분야별 이머징 이슈를 파악하고, 이를 단・중장기 R&D 투자전략 수립 및 전략적 예산 배분・조정으로 연계・활용


  • 최근 전문가 통찰에 의존하여 R&D투자 이슈를 선정하던 기존의 분석 절차를 보완하기 위해 과학기술 데이터・정보로부터 객관적인 근거를 도출하여 활용

  • 과거에는 이머징 이슈 또는 미래 메가트렌드 연구 등에서 기존 문헌/데이터 조사・분석의 초기부터 전문가 집단의 인사이트(insight)나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존재

  • 전문가 통찰 기반의 미래 이슈 예측기법은 방대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기존 연구데이터의 축적에 따른 폭증하는 자료 분석에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통찰 기반의 이슈 분석 절차를 보완하기 위해 과학기술 데이터와 정보로부터 객관적인 정보를 도출하여 전문가 평가・검증 시 제공・활용


  • 본 고에서는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 또는 매년 투자방향과 연계하여 이머징 이슈 분석과 이로부터 도출한 R&D투자 아젠다를 제시

  •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논문 서지 정보와 정부R&D 투자의 목적(가치)에 해당하는 검색키워드*를 활용하여 R&D투자 이머징 이슈를 분석

        * scientific innovation(과학기술 혁신), economic development(국민 경제 발전), quality of life(삶의 질 제고)

  • 이머징 이슈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한 R&D투자 아젠다는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 (5년 단위) 또는 투자방향(1년 단위), 분야별 투자전략 수립 시 근거자료로 활용



1.2 분석 개요

  • 본 연구에서는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진이 2020년부터 연구하여 정책연구에 활용하고 있는 “이머징 이슈 탐색 방법론”을 도입・적용

  • ‘이머징 이슈 탐색 방법론’은 논문 서지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신규성', '확장성', '파급효과'라는 세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이머징 후보 키워드와 파급 키워드의 조합을 추출

- 신규성: 특정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에 비해 출현 빈도는 높지 않으나 시계열적 특성상 그 빈도가 어느 순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로 측정

- 확장성: 키워드의 출현 가속도를 계산, 연도별로 해당 키워드의 출현 횟수에 대한 증감 가속도 값을 구하고 이를 마지막 출현 연도까지 누적시켜 최종적으로 계산한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측정

파급효과: 인용 관계를 통한 분야의 확장을 측정


[그림 1] 논문 서지 정보 기반 이머징 이슈 탐색 프로세스 (국회미래연구원)


  • 사회과학(Social science) 분야의 논문 정보와 “정부R&D의 공통 가치(검색키워드)”에 국회 미래연구원 연구진이 제안한 “이머징 이슈 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R&D투자 이슈를 분석


  • R&D투자 이슈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이머징 이슈(주제)로부터 R&D투자 아젠다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아래 절차에 따라 분석을 수행

  • 각 정부 시기별 국가연구개발 중점투자방향의 주요 키워드가 변화해 왔음을 확인하고 국가 과학기술기본법 분석을 통해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의 공통 가치*를 검색키워드로 선정

        * scientific innovation, economic development, quality of life

  • 정부R&D의 공통 가치(검색키워드)와 이머징 이슈 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Web of Science 논문 서지 정보 기반으로 이머징 후보 키워드와 파급 키워드 조합 추출

  • 추출된 이머징 후보 키워드와 파급 키워드 조합에 대해 독립적인 이슈 선별 및 유사 이슈 간 조정을 통한 1차 선별을 진행하고, 선별된 이슈에 대해 전문가 검토・분석을 통해 최종 이머징 이슈 선정

  • 이머징 이슈 분석 결과로부터 핵심 키워드에 대한 TF-IDF를 활용한 빈도 분석을 통해 R&D투자 아젠다 도출

<표 1> 국가R&D 투자 관련 이머징 이슈 분석 절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