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국 바이오제조, 중국정부는 육성하고 미국은 견제하고
- 등록일2025-01-23
- 조회수583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1-07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바이오제조#미국
중국 바이오제조, 중국정부는 육성하고 미국은 견제하고
[이슈브리핑]
◈본문
□ 중국 국영 신화통신은,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가 2025년 양자기술, 바이오제조, 인공지능에 특히 중점을 두고 신흥 및 미래산업 발전을 가속화할 계획을 발표했다고 보도함.
- 2024년 12월 26일~27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업무회의(national work conference)에서 산업정보기술부는 신흥 산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경제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집중 행동 계획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이 전략적 이니셔티브에는 미래 산업의 혁신 과제에 대한 공개경쟁과 함께 신흥 분야의 혁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도입하는 것이 포함됨.
- 강조된 부문 중 양자기술산업은 양자 컴퓨팅, 양자 통신 및 양자 측정 등 세가지 주요 영역을 포괄하고 있음. 최근, 중국과학원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인 "Zuchongzhi 3.0" 초전도 양자 프로세서를 선보였으며, 이 프로세서는 세계 최고 슈퍼컴퓨터보다 1,000조배 빠른 속도로 특정 계산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
- 바이오제조는 생물학적 공정을 활용하여 제품을 합성하거나 가공하는 분야로 다 양한 부문에서 기존 제조방법에 대한 지속가능한 대안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힘. 특히, 중국의 풍부한 자원과 종합적인 산업바이오 시스템은 계속해서 상당한 투자 를 유치하고 있으며, 2024년 한해에만 약 300억 위안(41억 7천만 달러)가 바이오 제조산업에 투자되었다고 밝힘.
- 인공지능(AI) 분야는 ‘AI 플러스 제조’ 이니셔티브를 시행할 예정임. 이 프로그램은 주요 제조 시나리오에서 범용 및 산업별 대규모 언어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 한편, 2000년 이후 중국 정부는 생명공학(바이오)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이를 미국의 위협으로 간주하고 있음.
- 2024년 3월, 미국 의회 신흥생명공학국가안보위원회(NSCEB)는 백서를 발표하면서 중국이 ”바이오 시대(age of biology)”를 주도하고, 미국을 앞지르기 위해 상당한 투자와 기민한 정책 결정을 내리고 있다고 경고함.
- 2021년~2025년 제14차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메이드 인 차이나 2025 (made in China 2025)“는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으로 간주되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국이 세계 리더가 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음.
□ 미국 의약전문지인 Pharma Manufacturing은 이번 중국의 바이오제조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발표는 중국과 미국간의 지정학적인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전함.
- 미국 의회가 중국의 특정 바이오기업을 겨냥해 추진하던 생물보안법이 2024년에 최종 통과되지는 못했으나, 이는 차기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장악한 상·하원의 반중 정서를 감안할 때 일시적인 입법 유예에 불과할 수 있다고 평가함.
- 지난달 생물보안법의 규제대상기업으로 언급된 우시앱택은 자사의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사업부인 우시 어드밴스드테라피(WuXi Advanced Therapies)의 미국과 영국 사업부를 미국 사모펀드 알타리스(Altalis)에 비공개 금액으로 매각한다고 밝힌 바 있음.
□ 2025년 1월 6일, 미국 생물보안법의 규제대상기업으로 지목되었던 우시 바이오로직스 또한 아일랜드에 있는 우시 백신 공장을 미국 머크에 5억 유로(5억 2천만 달러)에 매각한다고 발표함.
- 해당 시설은 우시 바이오로직스가 2019년 2억 유로(당시 2억 4천만 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백신 공장으로 2021년부터 가동되고 있었음.
- 로이터, 피어스파마 등 해외 언론들은 이번 매각 소식을 전하며 미국이 추진하는 생물보안법의 영향으로 우시바이오로직스의 주가와 이익이 감소하면서 우시바이오로직스가 상당한 규모의 매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보도함.
□ 중국 정부는 신흥산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경제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바이오제조를 육성해 왔으며, 미국 정부는 이러한 중국의 발전에 대해 미국의 국가 및 경제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음. - 작년 8월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합성생물학, 바이오제조 등 바이오분야 7개 기술에 대한 최근 5년간 연구우위를 점하고 있는 국가 순위를 분석해 발표했으며, 7개 기술 중에서 중국이 4개 미국이 3개 기술에서 1위를 차지함. - 특히, 바이오제조의 경우 세계 최고 10개 기관 중 중국이 9개를 보유하고 있고, 영향력 있는 논문 점유율도 중국이 28.5%를 차지해 10.3%를 차지한 인도와 8.5%를 차지한 미국보다도 월등히 높았음. □ 우시앱텍,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의 주요 바이오제조 기업들은 미국 등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었으나 작년 미국이 추진하던 생물보안법안의 영향으로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 아시아 등에서 비즈니스가 위축되기 시작했음. - 실제 그 영향이 지난달과 이번에 있었던 우시앱택 및 우시바이오로직스의 일부 사업 매각으로 이어짐. - 작년 통과하지 못한 생물보안법이 새해 다시 추진될지 여부는 아직 알려진 바는 없으나 생물보안법이 중국 바이오제조기업들에게 미칠 여파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바이오제조 역량 가속화를 위한 2차 후속 조치 발표 2024-08-27
- BioINwatch 미국, ‘신흥 바이오기술에 관한 국가안보위원회’ 중간보고서 발표 2024-06-11
- BioINpro [바이오제조 행정명령] 안보, 통상, 공급망 관점의 초격차 바이오 전략기술 육성 전략 2023-07-12
- BioINpro [바이오제조 행정명령]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과 과제 2023-07-12
- BioINwatch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2023-04-27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