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 등록일2025-02-11
- 조회수616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1-14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KISTEP#과학기술#혁신정책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 목차
I. 작성배경
II.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선정
III.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주요 내용
Ⅳ. 결언
◈본문
< 요약 >
□ 2025년은 대내외적인 복합적 환경변화로 미래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을 것이며, 국가・사회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노력은 더욱 절실한 시기
●(외적 환경변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국제질서 대전환,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GVC) 대전환, △생성형 AI가 가속화 한 데이터 기반 디지털 대전환, △기후변화 및 탈탄소 글로벌 규제 대응 에너지 대전환
●(내적 환경변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대전환, △저성장 고착화 극복을 위한 생산성 대전환, △혁신・도전의 선도형 국가연구개발 시스템 대전환
●2025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해 과학기술계가 주목하고 집중해야 할 ‘KISTEP Think 2025,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발굴・제시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혁신환경 변화 분석 결과와 최근 주요 정책방향을 반영하여 3대 정책영역 설정
●다양한 국내외 혁신환경 변화 분석을 위해 현 정부 출범 이후부터 최근 미국 대선 종료까지의 기간(’22.5.1~’24.11.17) 동안의 언론자료, 과학기술정책 자료, 과학기술・산업・정책 동향 분석자료 등 총 130만여 건의 빅데이터 자료 수집
●수집한 빅데이터를 정제 후 텍스트 마이닝 및 생성형 AI를 활용한 분석 등을 통해 주요 영역별 핵심 키워드와 주제 도출
●빅데이터 분석 결과와 최근 주요 정책 방향을 반영하여 3대 정책영역으로 ① 기술패권 시대의 과학기술 주권 확보, ② 임무지향 및 선도형 국가 R&D 시스템 혁신, ③ 국민 행복・안심사회 구현 과학기술 역할 강화를 설정
□ 다양한 경로로 취합된 아젠다 후보풀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위원회 및 KISTEP 내부 검토회의를 통해 파급효과, 중요성 및 시급성 등을 종합 검토하여 3대 영역의 10개 정책 아젠다 선정
●“KISTEP Think 2024, 10대 정책 아젠다”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아젠다 발굴 자문위원회 및 내・외부 전문가들로부터 신규 아젠다 발굴 및 검토・조정을 통해 최종 “KISTEP Think 2025” 10개 정책 아젠다 및 정책 과제들을 도출
[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선정 결과 ]
□ 향후 아젠다 발굴의 실효성 및 실행력 제고를 위해 개별 아젠다의 실행방안을 구체화하여 정부의 정책과 사업에 반영하고, 추진 현황의 모니터링 및 환류 과정 필요
●이와 함께 최신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 아젠다의 지속 발굴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