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년 10대 농정 이슈 외
- 등록일2025-02-13
- 조회수478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1-13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25#10대#농정이슈
- 첨부파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년 10대 농정 이슈 외
주간 브리프_Vol.2(2025.1.13.)
◈본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년 10대 농정 이슈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5년 농업·농촌을 둘러싼 대내외 주요 여건 변화를 바탕으로 2025년 ‘10대 농정 이슈’를 선정하였음.
- 기후변화, 세계·국내경제 전망, 지정학적 리스크 및 통상변화, 기술혁신 등 농업·농촌 여건 변화가 한국 농업·농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10대 농정 이슈 발표
| 2025년 10대 농정 이슈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24.12.31.)
세계 경제 동향
●중국 12월 소비자물가 하락추세, 디플레이션 우려 | 2025-01-10 조선비즈
⊙ 2025년 1월 중국 통계국은 중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다고 발표하였음. 2024년 1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8% 하락(-)을 기록하였으나, 2월 0.7% 상승(+)으로 전환되었고 이후 유지되었음. 다만, 물가상승률의 폭은 8월 0.6%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임.
⊙ 중국 경제 관련해서는 미국, 유로존 등 주요국과 반대로 디플레이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됨.
- 디플레이션이 고착화될 경우, 소비 심리 위축-기업 수익 악화-투자 및 고용 감소-가계 소비 감소의 악순환 우려
⊙ 중국 정부는 내수 촉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금리 인하, 재정 지출 확대, 초장기 국채 발행 등 통화·재정 정책과 보조금 정책을 강화하였음.
- 다만, 경제전문가들은 목표 경제성장률 달성을 위한 단기적인 부양책보다는 소비심리 개선, 경제구조 변화 등 장기 대책 중요성 강조
| 2024년 중국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추이 |
국내 경제 동향
●통계청, 2024년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 2024-12-31 통계청
⊙ 2024년 12월 31일 통계청은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였음.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서는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와 함께 2024년 한해 동안 물가 동향을 정리하였음.
- 2024년 12월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9%로 10월 이후 2개월 연속 상승을 기록하였음. 다만, 상승률은 여전히 2%보다 낮아 대체로 물가상승 완화 추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
⊙ 2024년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에 비해 2.3% 상승하였음.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년 대비, 이하 연간 물가상승률)은 2022년 5.1%로 급등한 이후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음.
⊙ 지출목적별로는 ‘기타 상품 및 서비스’의 연간 물가상승률이 4.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3.9%), ‘의류 및 신발’ 순이었음.
-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연간 물가상승률이 다른 품목들에 비해서는 높았지만 2020~2024년 중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였음. 식료품 등의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2024년에는 물가상승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해석
-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는 국제유가의 하락세 영향으로 2024년 물가상승률이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
| 2024년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지출목적별)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