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유럽 및 인도의 반응

  • 등록일2025-03-13
  • 조회수532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유럽 및 인도의 반응

[이슈 브리핑]

 

◈본문

□ 지난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관세 인상과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다음으로 의약품에 관세를 25% 이상 부과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이후, 미국의 주요 의약품 수입국이자 무역수지 적자국인 유럽과 인도의 반응을 소개함.


< 유럽의 반응 >


□ 미국 정치전문매체인 폴리티코에 따르면, 의약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경우

- 전문가들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저렴한 아시아산 의약품 의존도를 줄이고 의약품 자체생산 강화를 시도하는 시점에서 의약품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함.

- 또한, 전문가들은 EU가 미국의 관세에 맞대응할 경우 역내 의약품 부족 문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함.

- 한편 세계무역기구(WTO)의 1994년 합의에 따라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관세에서 제외되고 있으므로 이번 발표가 무역전쟁의 새로운 전선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아일랜드 투자개발청(IDA Ireland)은 의약품에 대한 WTO 협약이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기대를 걸고 있음. 2023년 기준 아일랜드는 미국의 최대 의약품 수입국임. 마이클 로한 아일랜드 투자개발청 최고 경영자는 의약품 공급망에서 완제품을 판매하는 지점과 반제품이 이동하는 지점 중 어느 쪽에 관세를 부과할지를 결정해야하는 문제가 있다며 관세 부과의 위험성을 낮게 평가했음.

- 미국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원료의약품 전체를 생산하는 노보노디스크 등 유럽에서 존재감이 큰 제약 대기업들은 관세 비용을 흡수할 수 있다며 크게 우려하지 않는 모습이지만, 중소 기업들은 관세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걱정하고 있음.

- EU의 보복 여부는 특히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EU집행위는 지난주 관세에 즉각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의약품과 관련한 사안에서는 환자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EU와 미국 모두 자체 의약품 생산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고 있으나 현재는 특히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의 경우 아시아의 의약품과 원료 물질에 의존하고 있음.

- 유럽이 의약품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므로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경우 EU의 보복 결정이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됨. 프랭크 판덴브루커 벨기에 보건부 장관은 지난주 한 행사에서 EU 집행위가 맞대응을 준비할 때 공급망에 의도치 않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매우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다수의 유럽 국가에서는 의약품 가격이 고정되어 있어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해당 의약품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음.

- 또한 ING은행의 스타디흐는 유럽 인구의 고령화로 의약품, 특히 저렴한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과 의약품 부족 문제를 고려해야 하므로 대응하기가 매우 복잡할 것이라고 설명했음.


< 인도의 반응 >


□ 인도 의약품 수출 촉진 위원회(Pharmexcil)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기준, 인도는 약 87억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미국에 수출하였음.

- 인도는 미국 FDA 요구 사항에 따라 가장 많이 인증받은 GMP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은 제네릭 공급량의 약 절반을 인도에서 수입하고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25% 이상 관세 부과 계획은 인도가 예상하였던 관세율보다 10% 높으며 이 조치가 앞으로 모든 국가의 의약품 수입에 적용될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한 몇몇 국가에만 적용될지 아직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밝힘.

□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를 앞두고 인도 제약협회(IPA) 수다르샨 자인 사무총장은 인도가 미국이 필요로 하는 제네릭 의약품의 약 47%를 공급하고 있으며, 인도가 미국의 의료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함.

□ 의약품에 대한 25% 이상의 관세가 실제로 시행될 경우 미국은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가격 상승과 의약품 부족, 미국 내 제조업 온쇼어링 증가, 보험사의 구매 비용 증가로 인한 보험료 인상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Sun Pharma, Lupin, Aurobindo Pharma, Cipla, Dr. Reddy's와 같은 인도의 대형 제약사들의 매출에서 미국 매출 비중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도산 의약품에 대한 직접수입 관세는 이들 기업들의 수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미국의 의약품 관세 인상에 대비해, 인도 기업은 미국 내 기존 시설로 전환한다는 계획도 고려하고 있으나 비용 상승과 제네릭과 같은 의약품의 경우 마진이 매년 하락함에 따라 생산 경제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보여짐.

- 인도 Aurobindo의 미국 법인인 Aurobindo Pharma 스와미 아이어 CEO는 “단기적으로 미국 지사가 인도에서 제품을 계속 수입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미국 및 인근 국가에 있는 공장이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다고 말하며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공장을 짧은 기간내 상용화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시장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힘.

- 인도 Lupin 비니타 굽타 CEO는 “대량의 저가 의약품은 추가 비용을 부담할 수 없기 때문에 관세가 시행될 경우 중요한 의약품의 경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라고 밝힘.

□ 인도 제약협회(IPA)는 관세 부과 시행시 매년 약 5%의 매출 하락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첫 번째로 제네릭을 허가받아 180일 마케팅 독점권을 확보하는 방안과, 경쟁 위험이 낮은 복잡한 제네릭 개발 등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음.


<참고자료>

1. 유럽 제약업계, 트럼프의 관세 위험 대비, 한국무역협회 통상뉴스, 2025.2.24

2. Pharma braces for tariffs as Trump threatens to buck trade convention, PoliticoPRO, 2025.2.22.

3. US Tariffs: With 50% Of US Generics From India, Industry Ponders If MAHA Will Trump MAGA, PINK SHEET, 2025.2.2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