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국,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AI・양자・바이오’로 승부
- 등록일2025-03-25
- 조회수465
- 분류정책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5-03-2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첨부파일
중국,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AI・양자・바이오’로 승부
과학기술&ICT정책·기술동향 제278호
◈본문
Ⅰ 2025년 기술 트렌드와 시사점1)
■ 우리가 현재 직면한 ‘뷰카(VUCA)*’라는 시대는 기존의 지식이나 상식, 경험만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급진적인 기술 발전은 우리의 생활, 일, 상호작용 등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촉매제로 작용
* 리더가 혼자 답을 내리기에는 너무나 변동성이 크고(Volatility), 불확실하고(Uncertainty), 복잡하고(Complexity), 애매모호한(Ambiguity) 시대
○ 경기 위축에 따른 환율 변동성, 무역과 기술 재편 등의 리스크가 가시화되고, 산업 및 통상 정책과 규제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 가늠할 수 없는 외부 환경의 위험이 일상화
- 따라서 살아남기 위해 기존의 지식과 경험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시점
■ 전 세계의 산업은 디지털 혁신, 지속가능성의 의무,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대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가운데, 급속한 기술 발전은 모든 사람에게 기회와 과제를 부여
○ 잘나가는 기업 일지라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거듭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
- 파트너십과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들은 경쟁사와 차별화하고 잠재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전략 고안이 필요
○ 기술 변화는 한국 기업에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제공
- 반도체와 AI 하드웨어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한국 기업들에는 새로운 성장 기회로 작용
- 한편 트럼프 재집권으로 인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한국의 AI 기술 개발과 수출 제약 등 위협 요인들도 산적해 있는 상황
■ 따라서 본고에서는 주요 기관들이 발표한 2025년 기술 트렌드와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글로벌 기관, 컨설팅 기업, 주요 미디어 등이 발표한 기술 트렌드를 토대로 새로운 기회와 도전 과제를 살펴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1 주요 기관이 선정한 2025년 기술 트렌드
■ 가트너(Gartner), 포브스(Forbes), 딜로이트(Deloitte), Trendforce, CB Insights 등에서 발표된 2025년 기술 트렌드를 중심으로 분석
1) 가트너(Gartner)
○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가트너(Gartner)는 ‘2025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면서 AI의 영향력을 강조
* Gartner 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5
※ AI는 인간이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진화하며, AI의 발전을 따라잡지 못하는 순간이 오기 전에 AI를 통한 발전을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
- 가트너는 10대 전략 기술을 선정하면서 ‘AI의 필수성과 위험, 컴퓨팅의 새로운 지평, 인간과 기계의 시너지’라는 3가지 테마로 분류
⦁ AI의 필수성과 위험 : AI에이전트의 성장으로 AI 관리 체계의 발전과 허위 정보에 대응한 기술이 요구
⦁ 컴퓨팅의 새로운 지평 : 양자 컴퓨팅 발전으로 새로운 암호화 방식이 필요하며, 적정한 비용의 센서 기술은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
⦁ 인간과 기계의 시너지 : 물리적 경험과 가상 경험의 고도화된 상호작용, 일상에 활용되는 로봇 기술, 그리고 인간의 인지 능력과 수행 능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을 도입
< 가트너의 2025년 전략 기술 트렌드의 주요 테마 >
출처 : https://www.gartner.com/en/articles/top-technology-trends-202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