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등록일2025-04-28
  • 조회수250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본문

1. 개요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생명기초사업센터는 신약개발 분야 정부 R&D 투자 전략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16년 이후 매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발간

∙신약개발은 개발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실패 위험이 높으며, 대상 질환 및 의약품의 종류도 다양하여 전략적·효율적 투자 필요성이 높음

∙이에 따라, 신약개발 관련 정부 R&D 상세 분석과 관리를 위해 신약개발의 단계, 의약품 종류, 대상 질환을 기준으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약개발 단계와 의약품 종류에 대한 분류체계를 수립하여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현황 및 포트폴리오 상세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를 기준으로 신약개발 투자 추이(2014∼2023년) 및 투자 포트폴리오 (2023년) 분석 결과 제시1)

∙신약개발 단계 : 타겟 발굴 및 검증, 후보물질 도출 및 최적화, 비임상, 임상 1~3상, 인프라 및 기타


<표 1> 신약개발 단계 분류기준


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신약개발 R&D 투자 효율화 방안」, 2012.3

엄익천 외,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재정소요 전망 방법론 개발 연구: 신약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2015.12


∙의약품 종류: 합성신약, 바이오신약, 한약(생약제제), 개량신약(합성),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표 2> 의약품 종류 분류 기준


주: 공통기반기술은 의약품 종류를 특정하지 않은 범용기술 및 플랫폼 기술 등

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신약개발 R&D 투자 효율화 방안」, 2012.3.

엄익천 외,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재정소요 전망 방법론 개발 연구: 신약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2015.12.


∙질환2): 혈관질환, 호흡기질환, 종양질환(혈액암 포함), 근골격계 질환, 면역계 질환, 감염증, 정신질환, 퇴행성 뇌질환, 내분비질환, 소화기계 질환, 비만, 기타*

* 2022년 분석부터 기존 분류체계에서 ‘타 질환에 포함되지 않는 희귀질환’과 ‘기타’를 모두 ‘기타’로 통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