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CRDS, 수리과학 분야 혁신에 관한 일본의 현황 분석 및 전략 제안
- 등록일2025-10-01
- 조회수13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9-29
-
출처
S&T GPS
- 원문링크
-
키워드
# CRDS#수리과학#일본
- 첨부파일
CRDS, 수리과학 분야 혁신에 관한 일본의 현황 분석 및 전략 제안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95호
◈ 목차
Ⅰ 이슈 분석...........1
부유식 해상풍력의 현황과 한국의 기회
Ⅱ 주요 동향...........16
1. 과학기술 16 CSIS, 차세대 지열 기반 글로벌 에너지 리더십 확보 방안 제시
CSIS, 네덜란드의 혁신 환경 분석
CRDS, 수리과학 분야 혁신에 관한 일본의 현황 분석 및 전략 제안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주요국의 AI 전략 보고서 발표
일본정책투자은행, 반도체 인재 현황과 전망 분석
중국 국무원, 인공지능+ 행동 심층 실시 방안 발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과학기술 등 협력 강화 성명 발표
WEF, 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주도할 ‘피지컬 AI’의 가능성 검토
2. ICT
스마트 팩토리에서 다크 팩토리로, 5G에서 AI 시대로의 제조 혁신 진화
우주 데이터 센터, AI 시대 데이터 인프라의 새로운 대안
EU, DMA가 이끄는 구글 정책 전환과 앱 생태계 재편
IFA 2025, AI로 확장되는 스마트 라이프 플랫폼
Ⅲ 단신 동향...........54
1. 해외
2. 국내
Ⅳ 주요 통계...........67
◈본문
Ⅰ 이슈 분석
부유식 해상풍력의 현황과 한국의 기회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열쇠 ‘부유식 해상풍력’
○ (풍황자원) 부유식 해상풍력은 고정식 해상풍력의 설치수심(약 50m 이내) 보다 깊은 수심에 설치가 가능하며 외해의 넓은 공간과 우수한 풍황자원 활용이 가능
- 유럽 해상풍력자원 잠재량의 80%(4,000GW)가 부유식 해상풍력 설치가 가능한수심 60m 이상의 해역에 존재하며, 미국과 일본도 각각 60%(2,450GW), 80%(500GW)가 이에 해당
- 국내 해상풍력 잠재량도 고정식 78GW, 부유식 546GW이며, 어업활동 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외해에서의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이 필요
○ (국내여건) 국내환경은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에 적합하나 기술은 아직 선진국 대비 초기단계에 머물러 대규모 상용화를 위한 적극적인 기술개발이 필요
- 국토가 협소하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해상풍력 개발이 필수적이며, 특히, 동해, 제주, 남해에서의 해양환경은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에 적합
- 과도기적 기술개발 단계인 부유식 해상풍력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개발로 글로벌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을 확대하는 중장기적 계획 마련이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SnT+GPS_295호.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