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OECD STI Outlook 2025 : 격변하는 환경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이 나아갈 방향
- 등록일2025-11-18
- 조회수118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11-1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STI#과학기술혁신정책
OECD STI Outlook 2025 : 격변하는 환경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이 나아갈 방향
◈본문
OECD는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Outlook 2025」를 통해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과학기술혁신(STI) 시스템이 직면한 도전을 진단하고,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개혁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지정학적 긴장, 기술 융합의 가속, 사회·경제 전환이 중첩되는 환경 속에서 변화를 견인할 7대 개혁 방향*을 제안하며, STI 정책이 국가 경쟁력 강화를 넘어 지속가능성과 안보, 회복력을 포괄하는 변혁적 정책 체계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단기 성과 중심의 R&D 구조를 넘어 기술정책의 초점을 ‘개발’에서 ‘확산’으로 전환하고, 민간 투자와 공공재원의 균형적 활용, 학제 간 협력과 데이터 개방을 통한 혁신 생태계 확산이 필요합니다. 「STI Outlook 2025」는 기술·인재·자본이 융합된 혁신의 전환점을 맞이한 지금, 과학기술정책이 단순한 성장의 도구가 아닌 지속가능한 사회 변화를 이끄는 국가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혁신을 뒷받침할 민첩한 거버넌스와 근거 기반 의사결정 체계의 확립이 요구됩니다.
*과학기술혁신정책의 7대 개혁 방안
△정책 간 시너지 효과 활용을 통한 효율성 증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한 비례적이고 정밀한 연구 보안 구축 △확산 강화를 통한 혜택 확대 △공공 과학 시스템 혁신 △기술 융합의 활용 △생태계 접근 도입 △전략적 인텔리전스 및 정책 실험을 통한 정책 민첩성 제고
[요약문]
□ OECD는 STI Outlook 2025를 통해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STI 시스템이 직면한 도전을 조망하며,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근본적 구조 개혁이 시급함을 역설
□ 핵심 논의로, 변혁적 변화를 위한 정책 설계, 비례성·정밀성에 기반한 연구 보안 거버넌스, 혁신 혜택의 확산, 공공 과학 시스템 혁신, 기술 융합 활용, 산업 생태계 접근 도입, 정책 민첩성 확보 등 7대 개혁 방향을 제시
□ 본 브리프는 한국의 STI 정책이 지속가능성·안보·경제적 경쟁력을 아우르는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고, 기술 정책의 초점을 ‘개발’에서 ‘확산’으로 전환하며, 통합적인 생태계 관점과 민첩한 대응체계를 갖출 것을 제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지식
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