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최종보고서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최종보고서

  • 발행일 2008-01-16
  • 출처 정책기획(총서 제67권)
  • 담당자 이천무 ( 042-879-8373 / leecm@kribb.re.kr )
  • 조회수 15076
  • 키워드
    #뇌 #뇌연구
  • 첨부파일

개요

제2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08~'17) 확정
 
고령화 사회의 전개와 융합기술 시대의 도래로 21세기 중·후반에는 기술개발의 패러다임이 뇌중심의 융합기술 개발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뇌연구 분야 세계 7위 기술강국 진입을 위해 향후 10년간 뇌연구에 1조 5천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며, 3대전략과 7대과제를 골자로 하는 뇌연구 촉진을 위한 정부의 마스터플랜이 발표(2007.12.5) 되었다.
뇌연구촉진법에 근거하여 과기부, 복지부, 산자부 등 5개 부처가 공동으로 수립한 ‘제2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은 지난 1998년 수립되어 올해로 종료되는 제1차 기본계획에 이은 것으로, 우리나라 뇌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제2차 기본계획에서는 그 동안 조성된 연구기반을 바탕으로 “R&D 핵심역량 강화”, “연구개발시스템 혁신”, “산·학·연 협력 및 인프라 기반구축” 등 3대 추진전략을 통해 뇌연구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게 된다.
또한 정부는 ‘국가 뇌연구 전문기관 구축 검토’ 등 7개 과제의 실천을 통해 이를 구체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1998년 뇌연구촉진법 제정 이후 제1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98~‘07)을 수립·추진하여 지난 10년간 총 3,180억원을 투자하는 등 뇌연구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여 왔다.
정부의 지원 및 투자에 힘입어 뇌 연구 참여인력은 ‘98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였고, 뇌 연구관련 SCIE 논문 건수도 ‘98년 세계 23위(65건)에서 ‘06년 14위(363건)로 상승하였다.
이번에 수립된 제2차 기본계획은 1차 기본계획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IT, NT, BT 등 타 기술과의 융합 트렌드 등 기술환경 변화와 국내의 기술역량 분석 등을 반영하여 수립된 중장기계획으로, 앞으로 동 기본계획에 의거하여 정부(과학기술부 주관)는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할 예정이다.

 

배경 및 필요성
○ ’07년은 제1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98~’07)이 종료되는 시점으로 새로운 도약을 위한 비전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08~’17)의 수립 필요
 ※ 근거 : 뇌연구촉진법 제5조
○ 지난 제1차 기본계획의 성과를 종합하고 국내외 환경변화 분석을 통해 제2차 기본계획의 추진방향을 도출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목차

제1부. 계획수립 및 추진성과
Ⅰ. 계획수립의 배경 및 범위
Ⅱ. 제1차 기본계획(’98~’07) 추진실적과 성과
Ⅲ. 국내․외 뇌연구 현황 및 전망

 

제2부. 뇌연구 육성 비전과 전략
Ⅰ. 비전 및 목표
Ⅱ. 추진전략 및 실천과제
Ⅲ. 투자 및 인력

 

제3부. 분야별 세부계획
Ⅰ. 뇌신경생물 분야
Ⅱ. 뇌인지 분야
Ⅲ. 뇌신경계 질환 분야
Ⅳ. 뇌신경정보 및 뇌공학 분야Ⅴ. 뇌융합 분야

 

※ 참고자료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