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 발행일 2009-06-12
  • 출처 정책연구 2009-2(총서 제101권)
  • 담당자 문성훈 ( 042-879-8372 / shnb8@kribb.re.kr )
  • 조회수 14874
  • 키워드
    #신약개발
  • 첨부파일

개요

1. 연구의 목적
􀁻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 상황에서 신약개발의 애로사항들을 분석하고 범국가적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2. 연구의 필요성
􀁻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
􀁻 세계시장의 확대와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의 가속화
􀁻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
􀁻 국민의 생명 및 건강 주권 확립


3. 연구의 대상(범위)
􀁻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블록버스터와 시장 독점력과 기술 혁신성이 강한 준블록버스터 및 니치버스터형 혁신신약


4. 신약개발의 bottleneck에 대한 원인 분석
􀁻 실제로 신약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와 개발 과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이 미비하여 정부지원금을 총액기준으로 분석할 때 신약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한 착시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신약개발관련 연구과제는 실질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초 기전 연구가 대부분이며, 소규모의 단위과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신약개발로 연결되는 경우가 매우 적음


􀁻 국내의 제약회사는 대부분 연구 개발보다는 영업과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으며, 소수의 선두 기업조차도 글로벌 수준의 혁신 신약개발을 추구하기에는 기업 규모가 매우 영세함......................계속

 

 

 

본 보고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협의회 주관 하에 추진된 기획 연구의 결과이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기획연구를 지원하였습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한국생명공학연구협의회 사무국으로 협의회 운영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보다 많은 국내 신약개발에 관련된 산학연 전문가들에게 본 보고서를 제공하여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목차

요 약

제 1장 서 론
Ⅰ. 기획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Ⅱ. 연구의 목표 및 내용


제 2장 신약 개발의 개요
Ⅰ. 신약의 정의 및 분류
Ⅱ. 신약개발 단계별 과정
Ⅲ. 신약개발의 국내외 현황(과거-현재)
Ⅳ. 국내 혁신형 신약개발의 중요성(미래)


제 3장 신약 개발 bottleneck 해결 방안
Ⅰ. 신약개발의 bottleneck에 대한 원인 분석
Ⅱ. 신약개발 bottleneck의 국내외 현황분석
Ⅲ. 선진국에서 신약개발 bottleneck을 해결한 사례
Ⅳ.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해결방안


제 4장 결 론 (신약 개발의 성과 창출을 위한 제언 )
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신약개발의 범위
Ⅱ. 신약개발 관련하여 산학연관이 취해야할 자세
Ⅲ. 현 신약개발 시스템을 개선할 방안


[붙임자료] 신약개발 bottleneck해결를 위한 전문가좌담회 언론보도자료


<참고문헌>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