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요약문]
본 논문은 국제협력을 증진하는 기술 발전과 전 세계적인 후원의 다각화를 설명하고, 지적재산권과 같은 본격적인 협력에 걸림돌이 되는 사례를 인용한다. 국제협력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때 기관이 채택하는 매트릭스를 비롯하여 협력수단과 현행 협력 추세를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전문가 네트워크의 증가와 대규모 과학 프로젝트 실행을 위해 전 세계 자원을 통합해야 할 필요성과 같이 다양한 요인을 점검한다.
본 논문은 생물정보학의 대두와 국제협력을 독려하는 생명공학의 발전상을 중점 검토한다.
본 논문은 미국과 중동, 일본(특히 오키나와 과학기술연구소), 중국, 유럽연합의 생명공학 현황과 후원 실태를 집중적으로 파악한 후 한국 생명공학 현황을 중점 검토한다. 연구 후원을 유지하고, 적극적인 IT 지원을 공급하고 장기 관계를 촉진하는 한국의 성공사례를 살펴본다.
그런 다음 한국 생명공학의 국제협력 개선에 필요한 제언을 제시한다.
제언에는 협력관계를 추진하는 기관의 목표 조화, 한국 연구소에 체류하는 해외 연구자 수 증대, 연구소 지원 인력의 세계화 등이 포함된다.
본 논문은 한국 연구원과 일본 연구원 6명에게 실시한 17차례 이상의 상세 면담 보고서로 보충한다.
국제협력 기본 모델을 약술하는 차트와 생명공학 분야 국제 협력연구에 대해 Ronald Fleming 박사가 특별히 의뢰한 보고서도 포함된다.
본 보고서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위탁과제로 우송대학교 이만열 교수가 수행한 연구결과물이며, 수록된 내용은 연구자 개인의 의견이며 당 센터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자 약력]
○ 이만열 교수 (Prof. Emanuel Y. Pastreich)
■ 학 력
○ 미국 하바드대학교 동아시아언어 및 문명학(박사, 1998)
○ 일본 동경대학교 비교문학(석사, 1991)
○ 미국 예일대학교 중국문학(학사, 1987)
■ 주요경력
○ 2007~현재 : 대전 우송대학교 Solbridge 국제대학 부교수 겸 아시아 연구소 소장
○ 2006~2007 :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역사학과 겸임교수
○ 2005~2007 : 주미 워싱턴 한국 대사관 문화 홍보원 Dynamic Korea 편집국장 겸 KORUS 포럼 코디네이트
○ 2005~2006 :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동아시아학센터 객원연구원
○ 1998~2004 : 미국 일리노이대학(어바나 삼페인) 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학과 조교수 겸 일본어 프로그램 디렉터
※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온라인 발간용으로 책자는 배포되지 않습니다.
목차
[Contents]
1. Why people collaborate internationally in science
1-1. Benefit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science
1-2. Possible problems i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science
2. Different Paradigm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science
3. Current trends in international science collaboration: which way are we going?
3-1. The evolution of regional funding mechanisms
3-2. The rise of Expert Networks
3-3. Increasing necessity that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be brought into a research project
3-4. The financial crisis and it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biotechnology
4. Specific trends i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biotechnology
5. Trends in biotechnology, by region
5-1. United States
5-2. Middle East
5-3. Japan (OIST)
5-4. China
5-5. European Union
5-6. EU - Seventh Framework Programme
6. Current trends i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6-1. What works in Korean Biotechnology
6-2. Problems observed in Korean biotechnology
7. Recommendations as to how to encourag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biotechnology
Appendix A: Interviews with Korean Biotechnology experts
Appendix B: Okinaw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endix C: Chart 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ppendix D: Research on international biotechnology collaboration by Ron Fleming
Bibl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