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1. 바이오 분야에서의 트리즈(TRIZ) 적용 사례-Ⅰ
트리즈란 러시아에서 탄생한 ‘문제를 발명적·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이론’으로 지금까지는 전자 및 기계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바이오 분야에서도 트리즈의 도입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 성과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함
1.1. 적용분야 개요
첫 번째 적용 사례는 비만과 관련하여 특히, 지방소립(lipid droplet) 축적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들을 지방세포로부터 추출해내는 방법을 찾아내고자 트리즈를 활용함
* 본 사례는 2006년 아모레 퍼시픽 연구소 조시영 박사팀과 트리즈센터의 윤홍열 대표가 3개월 간 공동 수행한 트리즈 시범 적용과제임
(http://www.trizcenter.co.kr/dataroom)
■ 비만을 억제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인체 세포 내부에 지방소립(lipid droplet)을 축적하는데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의 특성 파악이 필요함
○ 본 과제에 앞서서 이루어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Prp19p라는 단백질이 지방소립 축적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로 밝혀짐
- 따라서 Prp19p와 결합하는 단백질들을 확인하기 위해 Prp19p가 다른 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지방세포로부터 추출해야 했으나, 적합한 추출방법을 찾아내는데 상당히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을 소요해야 했음
■ 기존의 방법으로는 Prp19p 단백질 결합체를 지방세포로부터 추출해 내기 위해 지방세포의 단백질 결합체들의 결합을 모두 해제시켜야만 함
○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이 Sodium Dodecyl Sulfate(SDS)를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것임
- 그러나 이 방법을 활용할 경우, 지방세포의 모든 단백질이 분리되어 목표 단백질 결합체를 얻어낼 수 없음
..............계속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bioin@kribb.re.kr)
목차
1. 바이오 분야에서의 트리즈(TRIZ) 적용 사례-Ⅰ
가. 적용분야 개요
나. 분석방법
다. 분석결과
라. 결론 및 시사점
2. 바이오 분야에서의 트리즈(TRIZ) 적용 사례-Ⅱ
가. 적용분야 개요
나. 분석절차 및 방법
다. 분석결과
1) 특허 및 논문검색 결과
2) 특허 및 논문분석 결과
라. 결론 및 시사점
3. 트리즈(TRIZ) 이론
가. 트리즈(TRIZ)란?
나. 트리즈 역사
다. 트리즈 사고법
1) Tools of Classical TRIZ
2) Tools of Modern TRIZ
라. 트리즈의 주요 용어 개념
마. ARIZ(Algorithm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바. 트리즈의 핵심 사항
사. 트리즈는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
4. 국내 트리즈 도입 및 활용현황
가. 국내 도입현황
나. 국내 활용현황
다. 국내현안 및 개선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