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국내 산림과학기술 정책수립 및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동향 분석

국내 산림과학기술 정책수립 및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동향 분석

  • 발행일 2010-11-15
  • 출처 정책기획2010-6(총서 제132권)
  • 담당자 김수길 ( 042-879-8368 / muhgid@kribb.re.kr )
  • 조회수 10766
  • 키워드
    #산림과학기술
  • 첨부파일

개요

[요 약 문]

Ⅰ. 제목
“국내 산림과학기술 정책수립 및 R&D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동향 분석”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최근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서 녹색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외에서 녹색기술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며 융합녹색기술로 개념 확대되는 추세로서 녹색기술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중 산림이 보유한 가치와 기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국내외적으로도 산림이 보유한 가치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어서 산림의 다양한 기능에 주목하고 있으며 화석연료 고갈에 대안으로 바이오연료로서 임목의 개발과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해 필수적인 셀루로오즈 분해효소인 Cellulolytic Enzyme 개발이 ’08년 미국 MIT 선정 10대 미래 유망기술로 선정되는 등 이 분야의 기술개발에 관심과 기술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이에 국내에서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정('05. 8) 및 시행('06. 8)에 따라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10년 단위 최상위 계획인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08∼'17)이 수립되었으며, 체계적인 국가 차원의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을 위해 산림자원의 조성·육성, 관리, 이용 및 가치평가 연구에 관한 기술개발로서 4개의 중점분야와 16개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08년부터 시행된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은 급격히 변화하고 발전하는 산림기술발전 추세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녹색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환경 및 트렌드에 맞추어 새로운 연구개발 사업 구성을 위한 객관적·과학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이에 3P(Paper, Patent, Product) 분석이라는 객관적·과학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기획 관점에서 외부 기술·산업적 환경 분석과 내부 역량분석을 통한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기획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 3P 분석은 산림과학기술 중 ‘BT를 이용한 임목개량 및 산림자원 활용 기술’의 기술동향 및 기술변화 추세 조사·분석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임목개량 분야의 산업환경 변화 및 미래수용 예측, 국내연구성과 및 역량분석 등 3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중점 추진 방향 및 주요 대응방향 도출을 통해 국내 연구개발사업 기획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목차

[목 차]


Ⅰ. 분석의 목적 및 배경  
   1. 분석의 목적  
   2.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Ⅱ. 분석의 범위, 방법 그리고 제한점  
   1. 분석의 범위  
   2. 분석의 방법  
     가. 추진방법  
     나. 검색 키워드 및 검색결과  
   3. 분석의 제한점 

 

Ⅲ. 산업동향 및 미래수요 전망  
   1. 산림의 기능 및 산림경영의 패러다임 변화  
   2. 산림산업의 성장요인  
   3. 산림산업 현황 및 전망 

 

Ⅳ. 기술동향 및 기술발전 전망  
   1. 국내외 특허분석  
     가. 해외특허 분석  

     나. 국내특허 분석 


   2. 국내외 논문분석  
     가. 논문을 통해 살펴본 세계 기술동향 분석  
     나. 논문을 통해 살펴본 도메인별 기술동향 분석  
     다. 논문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기술동향 분석 

 

Ⅴ. 국내 경쟁력 현황  
   1. 국내 기술경쟁력 현황  
   2. 국내 산업경쟁력 현황  
   3. 국내 연구개발 지원현황 

 

Ⅵ. 발전방향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1. 분석에 대한 시사점  
   2. 연구개발사업 발전방향  
   3. 미래지향적 신규 연구개발 방향 도출 

 

Ⅶ. 참고문헌 

 ※ 참고자료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