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 발행일 2011-03-31
- 출처 정책연구2011-2(총서 제146권)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rush@kribb.re.kr )
- 조회수 14700
-
키워드
#국가연구개발사업
개요
본보고서는 1년여 동안 비공개하며, 공개 후에는 메일서비스로 정보를 제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보고서에 대한 문의사항은 담당자께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분석의 배경 및 목적
▪ 최근 우리 정부의 바이오 연구개발예산은 연평균 23% 이상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며 관련 부처가 다양해지면서 바이오 연구개발예산의 효율적인 투자 및 배분에 대한 중요성 부각
▪ 이에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국가 바이오 연구개발사업의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 바이오 R&D사업의 효율적인 투자방향 및 추진방향 제안을 위한 참고자료 제공 목적
분석의 범위 및 방법
▪ 분석 대상 : 2008년과 2009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조사·분석 대상사업 중 BT로 코딩된 총 세부과제
▪ 분류 체계① : 조사·분석 과제 리스트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분류, 연구개발 단계분류, 연구수행 주체분류 등의 기준 활용
▪ 분류 체계② : 바이오 R&D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로서 “Bio-Vision 2016” 상의 바이오분야 5대 분류체계, “577전략” 상의 바이오 관련기술 분류체계 활용
▪ 분류 체계③ : 신약 관련 R&D 과제분석을 위해 신약개발 단계, 연구목적, 질환분류, 타겟제품에 대한 분류체계 설정
분석 결과
▪ 바이오분야 연구투자는 소규모·단기과제(1~3년) 위주로 구성
▪ 각 부처별 BT 분야 연구지원이 도입기 및 성장기로 70% 이상이 초기단계에 집중, 이를 토대로 성장기 및 성숙기 단계의 기술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사업 필요
▪ 1994년 본격적인 바이오 투자 이후 약 17년이 지났으나 아직 대학 및 연구소 중심의 기초·원천연구가 대부분이며, 중소기업 및 대기업 참여 미흡....................계속
목차
★ 요약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가.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나. 분석의 목적
2. 분석의 범위 및 방법
가. 분석대상 및 범위
나. 분류체계 및 기준
1) 조사 ‧ 분석 과제 리스트 상의 분류체계 및 기준
2) 바이오 R&D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 및 기준
3) 신약 관련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 및 기준
다. 분석방법 및 제한점
3. 분석결과
가. 바이오분야 전반적 현황
1) 바이오분야 투자 현황
2) 기술분류별 투자 현황
3) 연구단계별, 연구주체별, 연구기간별 투자 현황
나. 부처별 바이오분야 투자 현황
1) 부처별 투자 현황
2) 연구단계별, 연구주체별, 연구기간별 투자 현황
3) 부처별 주요 연구사업
다. 바이오분야 전략적 분류에 따른 분석
1) Bio-Vision 2016 5대 분야 투자 현황
3) 핵심기술분야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2) 577 전략상의 바이오 중점기술
라. 신약 연구개발 사업 및 과제 분석
1) 2008년 신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분석
2) 2009년 신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분석
4. 분석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적 제안
가. 바이오분야 전반적 연구개발 현황 요약 및 시사점
나. 부처별 바이오 연구개발 현황 요약 및 시사점
다. 바이오분야 전략적 분류에 따른 연구개발 현황 요약 및 시사점
라. 신약 관련 연구개발 현황 요약 및 시사점
5. 참고문헌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