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 본 정책연구 보고서는 온라인 발간용으로 책자는 배포되지 않습니다.
Ⅰ. 추진배경 및 경위
1. 추진 배경
■ 농수산물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농식품분야의 활로 방안의 개척이 요구
○ 특히, 한․미 FTA, 한․EU FTA 타결 등으로 대외적인 환경변화에 국내 농업의 자생력이 한층 강화되어야 할 필요
- 지역 농수축산물 분야의 R&D 전문화를 통한 내적 충실도 강화 및 세계 농산업 분야를 주도할 글로벌 R&D 역량강화
* ‘09년 농식품부 업무보고에서 품목별 전문화를 꾀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1등 상품 만들기’라는 목표를 달성토록 한다는 계획 제시
■ 제1차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5개년 종합계획에서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R&D 활성화 전략이 미흡하였음을 제시
○ 중앙(농진청, 농식품부 등)과 지방(농업기술원, 특화시험장 등)의연계체계 미흡, 중앙-지역의 연구개발 중복가능성이 상존
○ 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역량 강화, 예산 지원이 미흡하여 지경부, 교과부 등에서 추진 중인 정책 프로그램의 역할이 확대
「품목별 대표조직」* 과 연계하여 R&D 재원 배분을 개별 연구기관 단위에서 관련 분야별․품목별 연구프로그램 중심으로 개편..................계속
목차
Ⅰ. 기획보고서
1. 품목별 광역단위 지역혁신시스템(LIS) 구축 사업(안)
2. 농림수산식품 R&D 민간지원조직 육성사업(안)
Ⅱ. 이슈보고서
1. 제1호 : 생명자원 연구 및 활용기술
2. 제2호 : 종자 산업
3. 제3호 : 식물 공장
4. 제4호 : 바이오에너지
5. 제5호 : 천연물 소재 활용 의약품개발
6. 제6호 : 기능성 생활소재(식품 및 향장 중심)
7. 제7호 : 유전체 기반 작물개발
8. 제8호 : 2011년 일본 농업생명공학 주요 분야별 정책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