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 발행일 2011-09-30
  • 출처 정책기획 2011-5(총서 제160권)
  • 담당자 양준혁 ( 042-879-8367 / yangjh@kribb.re.kr )
  • 조회수 11553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개요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요약

 

􌈔 수립 배경
○ 에너지 고갈, 환경오염 및 식량부족 등 인류가 직면하게 될 난제를 해결하는 바이오 연구의 필수 자원으로서 생명연구자원의 중요성 증대

○ 나고야 ABS 의정서* 체결 등 급변하는 생명연구자원 확보에 관한국제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생명연구자원 주권 확보 노력 필요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 공유(ABS :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의정서 ’10.10. 체결(나고야,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제정(’09)에 따라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전략 필요

 

􌈔 현황 및 시사점
○ 생명연구자원 선점ㆍ확보를 위한 국가적 대응 체계 구축 필요
※ 생물다양성협약(’93), ABS의정서체결(’10) 등 자원주권 관련 국제협약 강화와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국의 자원확보를 위한 정책 강화 추세
※ 식물자원 확보순위는 226개국 중 72위, 미생물자원 확보순위는 10개국 중 8위이나 확보량은 최대보유국(미국)의 14.3%, 염기서열 정보순위는 16개국 중 11위이나 확보량은 전체의 0.47%

 

○ 부처간 협력강화를 통한 생명연구자원의 정확한 현황파악과 안정적  관리체계, 자원보존·관리 기술 및 인프라 필요


○기초원천연구 활성화를 통한 생명연구자원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필요


○생명연구자원관련 정부예산의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 필요
※ ’09년 정부의 생명연구자원 분야 투자규모는 987.16억원으로, 생명공학 총 투자액(12,614.73억원) 대비 7.8%에 불과............................계속

 

 

 

 

목차

Ⅰ. 수립 배경 및 절차

1. 수립배경

2. 수립절차

 

Ⅱ. 국내ㆍ외 현황

1. 국외 현황

2. 국내 현황

 

Ⅲ. 비전 및 목표

 

Ⅳ.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1. 생명연구자원의 전략적 발굴ㆍ확보 강화

2. 생명연구자원의 안정적 보존 및 관리 효율화

3. 수요자 맞춤형 생명연구자원 활용 극대화

4. 지원체계 강화

 

V. 중점 과제별 부처 역할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