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 분석결과 요약
[분석의 배경 및 목적]
▪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부처 또한 다양해지면서 바이오 연구개발예산의 효율적인 투자 및 배분에 대한 중요성 부각
▪ 이에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국가 바이오 연구개발사업의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 바이오 R&D사업의 효율적인 투자방향 및 추진방향 제안을 위한 참고자료 제공 목적
[분석의 범위 및 방법]
▪ 분석 대상 : 최근 3년(2008~2010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조사·분석 대상사업 중 BT로 코딩된 세부과제
▪ 분류 체계① : 조사·분석 과제 리스트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분류, 연구개발 단계분류, 연구수행 주체분류 등의 기준 활용
▪ 분류 체계② : 바이오 R&D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로서 바이오 관련 주요 투자효율화 이슈 6대 연구분야 및 세부분야 분류체계와 연구목적 분류체계 활용
[분석 결과]
● 2010년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현황
▪ 2010년 국가연구개발사업비 총 12조 4,896억원에 대한 6T별 투자는 IT 18.9%(2조 3,571억원), BT 18.6%(2조 3,252억원), ET 17.5%(2조 1,873억원), ST 5.5%(6,846억원), NT 4.8%, CT 0.9% 순
▪ 최근 3년간 BT분야 정부투자는 빠르게 성장해 왔으나 미래유망신기술 6T 가운데 4번째로, 연구비 규모가 유사한 ET의 60% 수준
▪ 바이오 연구과제는 다양한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소규모/단기 과제 위주로 구성
▪ 2010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총 483개이며, 이 중 BT 연구과제를 추진하는 사업은 211개로 전체사업의 44%에서 흩어져 바이오 연구가 수행되는 상황.....................계속
※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요약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가.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나. 분석의 목적
2. 분석의 범위 및 방법
가. 분석대상 및 범위
나. 분류체계 및 기준
1) 조사 ‧ 분석 과제 리스트 상의 분류체계 및 기준
2) 바이오 R&D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 및 기준
3) 신약 및 줄기세포 과제분석을 위한 분류체계 및 기준
다. 분석방법 및 제한점
3. 분석결과
가. 2010년 바이오분야 투자 현황
1) 전반적 투자 현황
2) 기술분류별 투자 현황
3) 연구단계별, 연구주체별, 연구기간별 투자 현황
나. 2010년 바이오 주요 투자효율화 이슈 연구분야별 투자 현황
1) 전반적인 투자 현황
2) 주요 부처의 투자 현황
3) 주요 투자효율화 이슈 연구분야별 투자 현황
가) 신약개발 분야 투자 현황
나) 유전체 분야 투자 현황
다) 뇌연구 분야 투자 현황
라) 줄기세포 분야 투자 현황
마) 생명연구자원 분야 투자 현황
바) 유헬스 분야 투자 현황
다. 최근 3년(2008~2010년)간 바이오분야 주요 연구사업 투자 동향
1) 전반적 투자 동향
2) 주요 투자효율화 이슈 연구분야별 투자 동향
가) 신약개발 분야 투자 동향
나) 유전체 분야 투자 동향
다) 뇌연구 분야 투자 동향
라) 줄기세포 분야 투자 동향
마) 생명연구자원 분야 투자 동향
바) 유헬스 분야 투자 동향
4. 분석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가. 2010년 바이오분야 투자 현황 요약 및 시사점
나. 최근 3년간 주요 바이오 연구사업 투자 동향 요약 및 시사점
다. 바이오 주요 투자효율화 이슈 연구분야별 투자 동향 요약 및 시사점
라. 정책적 제언사항
5. 참고문헌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