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미래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효율적인 예산배분과 부처간 중복투자 및 투자공백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책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바이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적인 포지셔닝과 포트폴리오 현황을 분석하고자 함
가.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현대 사회의 산업이 고도화되고 지식기반 사회로 진전되면서 과학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과학기술은 경제 성장, 산업 발전, 복지 및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
현대 사회의 산업이 고도화되고 지식기반 사회로 진전되면서 과학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과학기술은 경제 성장, 산업 발전, 복지 및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2012년 IMD1) 세계경쟁력연감에 따르면 평가대상 59개국 중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전년대비 동일한 22위를 기록함
- 우리나라의 과학인프라와 기술인프라 또한 전년대비 동일한 순위로 2012년 과학인프라 5위와 기술인프라 14위를 차지함
◆ 다른 발전인프라에 비해서 과학기술 부문의 경쟁력이 높은 우리나라의 현황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는 글로벌 환경에서 긍정적인 여건으로 여겨지고 있음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는 국제적으로 450억달러로 세계 6위권으로, 세계적인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연구개발 활동은 매우 활발하여 투자규모도 지속적으로 증가함
○ 2011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는 49조 8,904억원이며, 이는 전년대비 6조 356억원(13.6%) 증가한 것으로 50조원에 근접함
-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03%로 세계 2위권을 차지, 전년(3.74%) 대비 0.29% 상승함
◆ 2010년 GDP 대비 R&D 투자 비중 3.74%로 세계 3위권, 총 연구개발비는 세계 7위권으로 1순위씩 상승함 2011년
- 국가R&D 투자액은 14.8조원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함
............계속
목차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가.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나. 분석의 목적
2. 분석의 범위 및 방법
가. 분석대상 및 범위
나. 분류체계 및 기준
1) 조사 ‧ 분석 과제 리스트 상의 분류체계 및 기준
2) 바이오 R&D 과제분석을 위한 맞춤형 분류체계 및 기준
3) 주요 연구분야별 세부 분류체계 및 기준
다. 분석방법 및 제한점
3. 분석결과
가. 2011년 바이오분야 투자 현황
1) 전반적 투자 현황
2) 기술분류별 투자 현황
3) 연구단계별, 연구주체별, 연구기간별 투자 현황
4) 지역별 투자현황 및 협력연구 현황
나. 2011년 바이오 주요 연구분야별 투자 현황
1) 전반적 투자 현황
2) 주요 부처의 투자 현황
3) 주요 연구분야별 투자 현황
가) 신약개발 분야 투자 현황
나) 의료기기/의료서비스 분야 투자 현황
다) 유전체 분야 투자 현황
라) 뇌연구 분야 투자 현황
마) 줄기세포 분야 투자 현황
바) 생명연구자원 분야 투자 현황
4. 요약 및 시사점
가. 분석결과 요약
나. 분석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제언
<참고 1> 국과위(KISTEP) 분석 결과와의 차이점 설명
<참고 2> 기획위원회 명단
5.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