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생명연구자원의 전략적 관리 및 활용 제고방안 요약
-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 -
■ 추진배경
○ 21세기 바이오경제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인프라이자 전염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생명연구자원 중요성 증대
○ 자원 확보를 넘어 가치제고 및 산업적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체계 고도화 추진
■ 환경변화 및 해외동향
○ (환경 변화) 바이오 융합기술 발전에 따라 자원의 특성⋅생명 정보 기반의 고부가가치 자원의 개발 및 활용 증가, 산업분야 확대
※ 생명연구자원 : 산업적으로 유용한 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 연구자원 등 생물체의 실물(實物)과 정보
- 신약개발 등 바이오 원천기술개발의 핵심도구로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생명연구자원의 개발·활용 역량이 R&D 경쟁력을 좌우
※ 신약개발 전임상연구에 사용되는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신약개발 스크리닝에 사용되는 특정질환 유래 줄기세포 질환모델 등
- 나고야의정서(ABS) 발효에 따른 자원부국의 자원주권 강화 및 감염병 등 국제이슈 대응을 위한 국가 관리체계 고도화 필요
※ 감염병 진단키트, 치료제 개발에 사용되는 검체확보를 위한 국제 경쟁 심화
○ (해외 동향) 선진국을 중심으로 생명연구자원 확보 및 통합 관리, 생물자원(실물자원 및 생명정보) 확보를 위한 대규모 투자 등 추진
- 국가생물정보센터(NCBI, 미국), 유럽생물정보센터(EBI, EU), 국가빅데이터센터(NBDC, 일본) 등 국가기관을 통한 자원 DB 통합 관리
※ 타미플루 : 중국 자생식물 스타아니스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제품화(로슈, 연 3조원 매출)
- 국제협력과 연계한 자원부국 자원확보(JICA, 일본), 유전체 자원 확보를 위한 대규모 투자(연 5천억, 중국) 등 자원확보를 위한 국제경쟁 심화
■ 주요 추진성과
○ (관리체계) 부처별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부처별 책임기관을 중심으로 소관분야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활용체계 구축
※「생명연구자원법」(’09), 「해양생명자원법」(’12), 「병원체자원법」(’16) 등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건립(’12, 복지부), ‘미생물가치평가센터’ 건립(’14, 미래부) 등
- 부처별 생명연구자원관리시스템 구축·운영,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KOBIC) 중심의 범부처 정보 연계
※ 범부처(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 KOBIS), 미래부(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NARIS), 농식품부(생명자원정보서비스, BRIS), 환경부(국가생물자원종합관리시스템, KBR) 등
○ (자원확보 및 활용) 부처별 책임기관 및 기탁등록기관을 중심으로 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물, 생명정보 등 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관리
※ 동물 1,605종/22,301종, 식물 15,081종/73,869종, 미생물 32,199종/3,584종, 인체유래물 827,063점/12,995,591점, 생명정보 13,119,657건(’15년 누적, 증식가능/파생 자원 기준)
- 확보된 자원 활용을 위해 산⋅학⋅연 공급, 가치제고사업을 통한 연구성과 지속 증대
※ 동물 37,326점/8,790점, 식물 80,993점/286,336점, 미생물 25,101주/1,607점, 인체유래물 6,257주/88,917점(’15년, 증식가능/파생 자원 기준)
※ SCI(E) 논문 475편(’11년) → 1,136편*(’15년), 국내/국제특허 21건(’11년) → 63건(’15년)
* 인용 798편/ 생산 338편
■ 향후 추진방향
○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 자원확보
- 글로벌 아젠다(기후변화, 감염병, 환경 등), 미래수요 대응, 연구⋅산업적 활용도를 고려한 국가전략자원 발굴 및 확보
- 해외 유용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거점 확대 및 자원 다양화, 자원 국제기구⋅국제컨소시움⋅공동연구 참여 등 국제협력 강화
○ 고부가가치 생명연구자원의 확보⋅활용 및 산업기반 조성
- 기 확보된 자원의 단순 관리 및 분양에서 특성평가, 메타정보 분석 등 가치제고를 통한 양질의 자원 제공으로 바이오연구 우수성과 창출
- 국가 R&D 연구성과물 공유 강화, 생명연구자원 기능성 정보 분석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자원 확보
- 생명연구자원의 민간 활용 및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체계 구축
○ 생명연구자원 통합관리체계 고도화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중심의 통합정보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특성정보, 연구성과, 유전정보 등 관련 정보의 통합 제공
- 표준화⋅전문화된 관리지침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자원의 질적 가치를 제고하고 수요자가 신뢰⋅가용할 수 있는 자원 제공
목차
Ⅰ. 추진 배경
Ⅱ. 환경 변화 및 해외 동향
Ⅲ. 추진 성과 및 시사점
Ⅳ. 비전 및 목표
V.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Ⅵ. 기대효과
Ⅶ. 중점과제별 부처 역할(안)
첨부
1. 제2차 기본계획 기간 중 총 투자 및 인력 소요(안)
2. 1차 기본계획 투자 계획 및 실적(ʼ11~ʼ15)
3. 생명연구자원 확보 현황
4.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참고
1. 생명연구자원의 분류 및 예시
2. 생명연구자원의 관리 프로세스
3. 일본 국가생물자원프로젝트 개요
4. 부처별 기본 시책
5. 부처별 관련 법·제도 운영사항
6.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 책임기관 지정 현황
7. 해외 생명연구자원 확보 거점센터 현황
8. 생명연구자원 분야 주요 국제협력 프로그램 현황
9. 1차 기본계획 대비(ʼ11~ʼ15) 주요 추진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