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2016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시행계획 요약
■ 추진배경 및 경과
□ 추진배경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6~’20)』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6년도 시행계획 수립을 추진
※ 근거 :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법 제7조
□ 추진경과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제정('09. 5.)
○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1~'20) 수립('11. 5.)
○ 2011년 ~ 2015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
○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6~’20)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본회의 상정(’16. 6)
- 기본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6.5~’16.6)
○ 2016년도 시행계획(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상정('16. 6.)
- 시행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6.5~’16.6)
■ 2014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 정부 투자
○ ’15년 정부 투자는 총 1,425억원 규모로서, 전년(1,086억원)대비 23.8% 증가
- (부처별) 미래부가 459억원(32.2%)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했으며 해수부 322억원(22.6%), 농식품부 217억원(15.3%), 환경부 194억원(13.6%), 복지부 100억원, 산업부 74억원, 식약처 58억원 순으로 나타남
* 해수부의 ‘15년 추진실적이 전년대비 3.7배(’14년 87.2억원 → ’15년 322.3억원) 증가(국립생물자원관 운영 등 인프라 사업 급증)
- (분야별) 생물자원 971.7억원(68.2%), 생명정보 372억원(26.1%), 생물다양성 81억원(5.7%)순이며 생물자원 분야에 투자 집중
□ 주요 추진성과
○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을 중심으로 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물 등 연구자들에게 분양 가능한 고품질의 생명연구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 관리
- 2015년 증식가능자원 기준 동물 1,605종, 식물 15,081종, 미생물 32,199종, 인체유래물 827,063점의 자원을 누적 확보·관리
※ 자원 종수는 부처별, 기관별 중복집계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추진개요
2.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6∼'20) 개요
3. 생명연구자원 관련 주요 동향
4. 2015년도 추진 실적 및 성과
5. 2016년도 추진계획
[참고] 기탁등록기관 인프라 현황
[부록] 2016년도 영역별·부처별 과제 세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