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 보고서

개요
2017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2017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은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 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수립(‘17.3) 하였습니다.
※ 근거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7조
2017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의 주요내용으로는 국내외 생명연구자원 주요 동향, 2016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2017년도 추진계획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가 관련분야 전문가 및 관련기업,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17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요약
1. 추진배경 및 경과
□ 추진배경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수립에 따라 각 부처별 추진사업과 실적을 정리하고,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7년도 시행계획 수립을 추진
※ 근거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제7조
□ 추진경과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제정('09.5.)
○ 제1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 수립('11.5.)
○ 2011년 ~ 2015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
○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6~’20) 수립(’16.6)
- 기본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6.5~’16.6)
○ 2016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수립('16.6.)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상정 및 확정('16.6.)
○ 2017년도 시행계획(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바이오특별위원회 상정('17.3.)
- 시행계획(안) 작성 및 관계 부처 의견수렴(‘17.1~’17.2)
2. 2016년도 추진실적 및 성과
□ 정부 투자
○ ’16년 정부 투자는 총 1,445억원 규모로서, 전년(1,425억원) 대비 1.4% 증가
- (부처별) 미래부가 452억원(31.3%)으로 가장 많은 투자를 했으며 해수부 304억원(21.1%), 농식품부 215억원(14.8%), 환경부 206억원(14.3%), 복지부 127억원, 식약처 112억원, 산업부 29억원 순으로 나타남
- (분야별) 생물자원 1,007억원(69.7%), 생명정보 347억원(24.0%), 생물다양성 92억원(6.3%)순이며 생물자원 분야에 투자 집중
□ 주요 추진성과
○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을 중심으로 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물 등 연구자들에게 분양 가능한 고품질의 생명연구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관리
- 2016년 증식가능자원 기준 동물 1,836종, 식물 13,102종, 미생물 27,207종, 인체유래물 830,684점의 자원을 누적 확보·관리
※ 자원 종수는 부처별, 기관별 중복집계 가능
< 2016년도 보존·관리 성과(누적) >
자원분류 | 증식가능자원 | 파생자원 |
동물자원 | 1,836종/547,255점 | 13,955종/1,116,671점 |
식물자원 | 13,102종/1,279,347점 | 67,739종/761,602점 |
미생물자원 | 27,207종/258,395주/229,414점 | 6,685종/43,730점 |
인체유래물 | 18,852사람 116,410주/830,684점 | 2,427,452사람/14,093,032점 |
생명정보 | (동물정보) 9,207종/9,751,074건, (식물정보) 7,313종/1,195,645건 (미생물정보) 14,191종/2,451,624건, (인체유래정보) 1종/83,945건 |
< 2016년도 분양 성과 >
자원분류 | 증식가능자원 | 파생자원 |
동물자원 | 2,156건/298종/56,633점 | 1,044건/780종/8,435점 |
식물자원 | 15,496건/350종/184,714점 | 11,243건/14,838종/451,340점 |
미생물자원 | 16,520건/7,619종/21,857주/14점 | 371건/217종/1,068점 |
인체유래물 | 3,314건/73사람/1,039주 | 1,506건/103,723사람/115,699건 |
생명정보 | (동물정보) 25건/2종/46,026건 |
○ 정부투자를 통한 논문 성과는 총 843편이며, 이 중 SCI(E)급 논문은 560편으로 전체 논문 중 약 66.4%를 나타냄
- 정부 투자를 통한 등록 특허성과는 총 58건이며, 이 중 국제특허가 4건(6.9%), 국내특허는 54건(93.1%)을 차지
○ 기 확보된 생명연구자원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가치제고사업 지속 추진
목차
1. 추진개요
2.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16∼'20) 개요
3. 생명연구자원 관련 주요 동향
가. 국외 주요 동향
나. 국내 주요 동향
4. 2015년도 추진 실적 및 성과
가. 정부투자
나. 연구개발 성과
다. 발굴 · 확보 성과 현황
마. 자원 분양 성과 현황
바. 인력양성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 3대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별 추진실적
5. 2016년도 추진계획
가. 기본 추진 방향
나. 부처별 기본 시책
다. 부처별 비전 및 목표
라. 3대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별 실천계획
마. 2017년도 정부 투자 계획
바. 부처별 · 영역별 실적 및 계획 총괄 일람
[참고] 기탁등록기관 인프라 현황
가. 장비 현황
나. 시설 현황
다. 인력 현황
[부록] 2016년도 영역별·부처별 과제 세부 내용
-
이전글
- 201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
다음글
- 2016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