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OECD BIO POLICY REVIEW

OECD BIO POLICY REVIEW

  • 발행일 2018-08-06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131851
  • 키워드
    #OECD #BIO #OECD BIO POLICY REVIEW
  • 첨부파일

개요

OECD BIO POLICY REVIEW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를 위한 정책과제

(Meeting Policy Challenges for a Sustainable Bioeconomy)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로의 세대 전환을 통해 환경사회적 위기 극복이 가능함을 말하여, 국제적 차원의 정책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함


 

□ (바이오경제) 기후변화 및 석유자원 고갈 등 환경사회적 위기의 대응책으로 바이오연료, 리파이너리 등이 부상하며 바이오기반 경제 시대가 도래

 


 

※ 바이오경제란, 바이오기반 제품공정의 잠재가치를 활용하여 국가를 위한 새로운 성장과 시민 복지를 추구하는 종합적인 경제 활동(OECD, 2006)

 


 

ㅇ 바이오매스는 미래 에너지의 주요 탄소원으로 각광받고 있어 식량-에너지 안보 간 딜레마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수

 

* 사회적생태학적인 피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기술

 

- ① 바이오매스 생산 토지의 활용, ② 농업 및 임산업 유래 바이오매스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 등에 의해 바이오매스의 지속성 좌우

 


 

ㅇ 다양한 기구기관 등에서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정의하고 있으며, 그 원료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고 특히 생물폐기물(Biowaste)을 활용한 바이오리파이너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바이오리파이너리란, 시장성 있는 제품 및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한 처리 과정 (IEA, Bioenery Task 42 Biorefinery, 2012)

 

- 사탕수수, 전분, 식물성 유지 및 목질섬유소(펄프) 분야가 상업화 단계이며, 해조류(지질) 및 바이오가스 분야는 아직 실험적 단계

 

- 사탕수수 등 초기의 전분계 바이오매스 원료의 한계 등에 따라 유기 폐기물*을 탄소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

 

* 농업폐기물, 동물성 지방, 임업 잔류물, 산업폐가스, 음식물쓰레기 및 도시고체폐기물 등

 


 

ㅇ 바이오기반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잠재력이 증가 하며 석유화학원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움직임 확대

- 대사공학과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경제의 핵심기술을 활용하여 상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 장벽 해결 가능

- 더불어 산업바이오 분야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직접적인 산업바이오 분야 교육훈련을 위한 대학교 교과과정 등 신설

- 스웨덴, 프랑스,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항공산업 등에서 화석연료를 바이오연료 등으로 대체할 계획을 속속 발표


□ (시사점)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 구축을 위해 공급수요 측면을 아우르는 기술혁신, 투자유인 등의 정책 프레임워크 설정 필요


ㅇ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는 미래의 주요 탄소원이자 동시에 식량 자원이므로 식량-바이오매스 산업 간 균형 조절 통한 바이오매스의 지속성 확보 필요


ㅇ (바이오리파이너리) 특히 유기성폐기물 활용에 대한 유연한 관리 규정 및 바이오매스 원료의 확보수집운반에 대한 환경비용과 경제성 평가 필요


ㅇ (바이오소재) 다양한 바이오기반 소재별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따른 유연한 투자 포트폴리오 및 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 정책 마련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주요 내용

1. 바이오경제 개념의 확장

2. 바이오매스의 지속 가능성

3. 바이오리파이너리 모델과 정책

4. 바이오기반 소재 생산과 화석연료 대체


Ⅲ. 시사점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