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기획 보고서

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 발행일 2019-03-20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9092
  • 키워드
    #OECD #마이크로바이옴 #최신 동향 #정책 과제
  • 첨부파일

개요

 

OECD Bio Policy Review No.2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그리고 건강: 과학과 혁신 현안에 대하여

(The Microbiome, Diet and Health: Towards a science and innovation agenda)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인간의 건강 증진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닌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최신 동향을 요약하고, 혁신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정책과제를 제안함

 

 □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영양,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이해는인류의 건강 증진 및 사회‧경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혹은 인체 상에 살고 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 전체를 말하며, 연구계에서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결정 요인으로 추측

 

ㅇ 최근 진행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식습관-마이크로바이옴-건강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 건강한 정상인, 장 유형별 혹은 생애 주기별(신생아기 혹은 노년기 등) 마이크로바이옴 특성 정보는 건강 수명 연장에 도움 될 것으로 기대

 

ㅇ 세계 각국은 대규모 글로벌 컨소시엄 구축을 통해 보다 많은 연구데이터 확보를 추구하고 각 국가별로도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활발히 추진-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는 연구 고도화(표준화, 일관성 확보 등)를 위해 보다 많은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국제적 협력이 촉구되는 추세※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08), 국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컨소시엄(’08), MetaHIT 프로젝트(’08-’12), JPI 프로젝트(’16) 등- 국제협력 외에도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 ※ 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미국 등

 

ㅇ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로부터 도출되는 새로운 지식과 상업화 잠재력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영역의 글로벌 기업 참여 증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건강 증진 식품 및 획기적 치료제 등 식품과 제약 산업 영역으로 확대- 글로벌 대형 식품기업(네슬레, 다논, 카길 등)과 제약기업(화이자, 듀폰, 얀센 등)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제품개발 연구 확대※ 네슬레건강과학연구소 설립(’11), 다논 Nutricia Research Itrecht 설립(’13), 얀센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연구소(JHMI, ’15) 등

 

□ (정책제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체계를 확립하고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 필요


ㅇ (과학기술정책) 미해결 핵심 분야 3곳에 연구지원을 집중하고 국제협력과 다학제적 연구협력을 통한 연구영역 확장- ①인체연구를 통한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 정의, ②숙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연구, ③생애 전주기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대규모 국제 컨소시엄 통한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구축과 소규모 프로젝트를 통한 심층 연구 지원


ㅇ (중개과학) 초기 연구를 넘어서 본격적인 임상적용 및 상업화를 위한 중개과학 지원 기반 마련 - 임상연구 프로그램 기획, 바이오마커 검증 및 연구 절차, 분석기술 등의 표준화를 통한 연구결과 활용성 증진 등


ㅇ (혁신정책) 공공-민간 파트너십 확대로 대규모 펀딩 확보, 개방적 연구와 데이터 공유 활성화, 그리고 지식재산권 보호 방안 마련


ㅇ (규제 프레임워크) 국가별 건강기능 식품 및 제약 관련 규제가 상이하여 해외시장 진출 등에 장애가 되므로, 과학적 근거 기반의 규제 프레임워크 재정립 필요-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식품/약품 규제 개선, 용어/카테고리 조율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주요 내용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지식 현황

   2. 공공 마이크로바이옴 과학의 제도적 측면

   3. 산업계와 마이크로바이옴

   4. 혁신 장애요인

Ⅲ. 시사점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