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regulation
전문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바이오 규제이슈 및 정보 제공사람중심 바이오 연구를 위한 철학적 기초
- 등록일2020-11-06
- 조회수3301
- 분류기타 > 기타
사람중심 바이오 연구를 위한 철학적 기초
한양대학교 이상욱 교수
과학 기술 연구의 최종 목표가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음. 하지만 사람중심 과학기술 연구를 정확히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는 논의는 많지 않음. 이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성과물이 어떤 것이 되었든 그 과학적 가치가 성공적으로 실현되기만 한다면 인류복지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암묵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임. 본 논의는 이런 암묵적 공감대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바이오 연구가 사람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유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진단하고자 함.
1. 바이오 분야 연구의 사회·문화적 고려의 필요성
1) 바이오 분야 연구의 사회·문화적 민감성
□ 바이오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와 함께 기술의 혜택과 위험 사이 대중의 간극이 발생함
◦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로 바이오 산업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바이오 분야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전반적 관심이 높아짐- 특히, 최근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일반 시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특별히 높음
- 이런 맥락에서 대중매체에서 건강 관련 보도의 비중도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건강한 삶을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생명과학,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함께 증폭함
◦ 하지만 이런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대중매체에 의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조장된 지나친 국민의 기대감임- 대중매체는 그 속성상 생명과학·공학 기술의 특정 측면을 새로운 기술이나 ‘혁신적’ 기술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음
- 그에 비해 그런 혁신적 기술이 실험실 단계에서 실제로 일반 시민이 활용하여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