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regulation

전문가의 시각에서 바라본 바이오 규제이슈 및 정보 제공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적 연구분석의 현황과 과제

  • 등록일2024-04-26
  • 조회수2275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박주이, 김태윤/한양대학교
  • 발간일
    2024-04-26
  • 키워드
    #바이오규제#규제과학#규제거버넌스#규제영향분석
  • 첨부파일
    • pdf [제2024-4호]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적 연구분석의 현황과 ... (다운로드 15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적 연구분석의 현황과 과제


한양대학교 박주이 박사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규제과학은 생명(바이오)분야에서 단순한 규제의 집행을 넘어과학적 발전이 인류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이고 책임감 있게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특히생명과학적 발전이 사회적리적 기준을 충족시키며 공공의 안전과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필수적인 균형을 제공함최근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의 주요 연구 주제는 유전자 편집바이오인포매틱스디지털 헬스케어면역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확장되고 있으며관련 논문 출판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최근 10년간 1,760). 국내에서는 기술 발전과 윤리적법적 측면 사이의 균형을 모색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생명공학줄기세포 연구인간배아배아줄기세포 등의 연구와 응용에 대한 규제 및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이러한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적 연구에 있어 중요한 과제는 생명과학기술의 빠른 발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규제과학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필요한 조정과 혁신을 추진하는 것임이를 위해 규제과학 리더십 확립근거 기반 규제 의사결정애자일한 규제 거버넌스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연구개발 리스크 평가제도경쟁력 평가비용편익분석유연성 및 적응력 강화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임



Ⅰ.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의 개념 및 현황이오)분야 규제과학의 개념 및 현황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의 개념 및 현황

▢︎ (특성생명(바이오)분야의 규제과학은 단순한 규제 집행을 넘어서과학적 발전이 인류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책임감 있게 관리하고 이끌어가는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함

  ◦ 생명(바이오)분야의 규제과학은 생물학의학화학 등의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법학윤리학사회과학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을 취하며이를 통해 복잡한 생명과학기술의 규제 문제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특성이 있음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과학적기술적 진보에 기반하여 생명공학 제품 및 서비스의 안전성, 효능품질 및 성능을 평가하고규제 의사결정에 적용하는 다학제적 과학 분야이며기술의 잡성과 불확실성을 식별하고위험을 평가하는 정교한 방법론을 개발하며안전하고 효과적인 기술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함


▢︎ (정의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과학적 증거와 원칙을 기반으로 안전유효성공공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 정책을 개발평가실행 및 모니터링하는 종합적인 연구체계 정의할 수 있음

  ◦ 생명(바이오)분야의 규제과학에 대한 정의를 내릴 때에도 규제과학이 불확실성의 영역을 다루며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규제기준을 생산하기 위한 다학제적 분야이자 영향의 과학임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자연과학공학사회과학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통합하여 생명과학기술의 규제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제공하며다양한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복잡한 규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등의 학문적 의의가 있음

    -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윤리적 고민과 도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인 이해를 확장하고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생명과학기술의 윤리적 한계와 책임사회적 영향 등을 탐구하며이를 통해 학문적인 지식을 발전시킴

  ◦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자연과학공학사회과학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통합하여 생명과학기술의 규제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제공하며다양한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복잡한 규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등의 학문적 의의가 있음

    - 생명(바이오)분야 규제과학은 기술과 과학의 이용과 규제에 관한 공평성과 정의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수반하고 경제적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개인과 단체가 공평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술과 규제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며이는 정의와 공평성에 대한 철학적 고려를 반영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